고독의 이야기들
발터 벤야민 지음, 파울 클레 그림, 김정아 옮김 / 엘리 / 2025년 4월
평점 :
일시품절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발터 벤야민은 20세기 독일의 철학자이자 비평가로, 예술, 역사, 문학을 본인만의 독특한 시각으로 보고 현대 미학까지 큰 영향력을 준 인물이다. 하지만 그가 글을 썼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발터 벤야민은 소설, 꿈, 설화 등 많은 문학작품을 남겼다. 이를 한 데 엮어 만든 책이 '고독의 이야기들'이다. 미국 철학자 주디스 버틀러는 그의 작품을 두고 '벤야민 읽기를 놀라운 방식으로 재조정할 굉장한 선물'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발터 벤야민이 쓴 '고독의 이야기'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고독의 이야기들'은 많은 단편들로 구성되어있다. 한 쪽 내지 두어장의 짧은 글들로 이루어진 글들은 발터 벤야민의 머릿속을 그대로 내놓은 듯, 자유롭고 몽환적이다. 글의 장르나 주제도 다양해서 마치 꿈을 꾸는 것 같다. 그 덕에 마치 내가 발터 벤야민 안에 들어온 것처럼 그의 생각과 감정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또 그만큼 난해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시적 표현도 보이지만 오히려 그런 표현도 참신했다. '웰티의 달밤'만 봐도 한 페이지의 짧은 글이지만 그의 생각을 여과없이 드러내고 있다. 창 밖에 달빛이 비친 땅을 보고 파도치는 바다를 떠올린다. 그리고 기사를, 오뒷세우스를 떠올리다 지구와 달의 관계까지 생각이 이어지게 된다. 배경 설명도 없고 의식의 흐름에 따른 글이지만 그가 보고 있는 장면이 무엇인지 떠올릴 수 있다. 그의 상상력이 어디로 뻗어나가는지 보는 것도 즐거움 중의 하나이다.

그가 그리는 문장은 내 눈 앞에 펼쳐지 듯 자연스럽게 장면이 떠오른다. 매일 마주하는 책상, 밤하늘의 달, 꿈 등 일상적인 것을 주제로 삼는다. 매일같이 펼쳐지는 것을 이렇게 깊게, 또 색다르게 바라보다니 그의 세상은 분명 다채로웠을 것 같다.

'고독의 이야기들'을 읽으면서 나도 덩달아 생각이 넓어지는 느낌이 들었다. 매번 겪고 보는 일상 속에 특별함을 찾아내고 깊이 고찰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고독의 이야기들'을 읽을 때면 내 주변도 더 특별해지는 착각이 들었다.

왜 이 단편집들에 '고독의 이야기들'이란 제목을 지었는지 생각해봤다. 이 단편은 발터 벤야민이 혼자 떠올리며 쓴 이야기들이다.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지 않은 오직 자신만의 생각으로 채웠기에 이런 제목이 붙은 것이 아닐까? 또 자신의 생각을 가감없이 드러내며 자신의 글이 누군가에게 인정받고 공감받기를 기다렸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고독의 이야기들'을 통해 발터 벤야민의 저자로서 새로운 면모와 톡톡 튀는 글을 알게 되어 즐거운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