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마크라메 - 쉼이 되고 돈이 되는 슬기로운 매듭 생활
김고은 지음 / 지와수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마이크로 마크라메'를 처음 들여다보면 '마크라메' 라는 생소한 단어가 눈에 띈다. 마크라메는 실을 꼬고 묶어 무늬를 만드는 기법이다. 어찌보면 레이스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나는 실을 이용한 공예에는 영 소질이 없다. 끈기가 없다고 해야하나. 한참 만들다가도 그 다음에 손이 안 가서 미완성으로 남겨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마크라메는 1,2시간으로 완성품을 볼 수 있다니 나에게 딱 맞을 것이라 생각했다. 또 다른 디자인, 다른 색상, 비즈의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한 작품을 낼 수 있다. 과연 마크라메로 어떤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마크라메를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벽장식이나 가방이 나온다. 이 책 '마이크로 마크라메'는 그런 큰 장식품이 아닌 반지나 팔찌, 목걸이 등 작은 장신구를 주로 다룬다. 만들기에 부담도 없고 활용도도 좋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선물하기도 용이하다. 더욱이 내 취향에 맞게 장신구를 만들 수 있으니 만드는 데에 의욕이 생긴다.

'마이크로 마크라메'는 도구부터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도구가 많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들이다. 쓰이게 되는 실 종류도 다양하다. 여태 뜨개질을 할 때면 부드럽고 얇은 실을 썼는데 마크라메는 단단하고 끊어지지 않는 실을 주로 쓴다. 실에 따라 결과물의 분위기도 달라지니 실 선택도 중요하다.

이 책에서 밝은 바탕에 위에 매듭짓는 과정을 차례차례 보여주니 보기도 편하고 이해하기 수월했다. 맨 처음엔 쉬운 매듭부터 점차 난이도를 올려간다. 기초인 평매듭을 배울 땐, 어릴 적 플라스틱 끈으로 휴대폰 줄을 만들던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그만큼 쉽고 익숙한 매듭인데 처음엔 예쁘게 만들기는 어렵다. 매듭을 만들면서 손 힘을 균일하게 쓰면서 매듭 하나하나 잘 마무리하는 게 필요한데 이는 앞으로 많이 만들어보며 익혀야겠다. 아무리 신경쓴다고 하더라도 균일한 굵기로 만드는 게 쉽지 않았다.

단지 실만 써서 만드는 것뿐인데 꼬고 매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결과물이 만들어진다는 것이 신기하다. 이렇게 간단하고 쉬운 재료로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취미를 발견하게 되어 기쁘다. 처음은 실만 이용해서 장신구를 만드는 것에서 시작하지만, 점차 익숙해져서 비즈나 원석 등 다양한 부자재를 넣어 꾸며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