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이란 무엇인가 - 행운과 불운에 관한 오류와 진실
스티븐 D. 헤일스 지음, 이영아 옮김 / 소소의책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살아가며 많은 선택을 하지만 모든 선택이 좋은 결과에 이르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결과가 주변 상황과 자신의 능력, 노력 등 결과를 좌우하는 건 많은 조건이 있겠지만 그보다 사람들이 더 중요하게 여기는 건 바로 운이다. 실패했을 때도, 성공했을 때도 '운'을 찾는다. 그렇다면 어디부터가 내 실력이고 어디부터가 운으로 이루어진 것일까? 정말 이 '운'이라는 것은 정말 실재하여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일까? 이 책 '운이란 무엇인가'는 오래 전부터 인류가 운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해왔는지 운에 대한 모든 것을 소개해주고 있다.



'운이란 무엇인가' 에서는 고대 철학자부터 현대 과학자에 이르기까지 운에 대해 어떤 관점이 있었는지 보여준다. 운이라는 모호하고 추상적인 개념을 이렇게까지 모아놓을 수 있다니 놀라울 뿐이다.

노벨상 수상자인 대니얼 카너먼은 '성공 = 재능 + 운' 이라는 방정식을 좋아한다. 진부하다고 생각될 지 모르지만, 그만큼 운은 성공에 빠질 수 없는 한 항목으로 중요하게 여겼다는 말이 된다. 이 방정식을 다르게 바꾸면 '실력 = 성과 - 운' 이라고도 볼 수 있다. 여러 경기를 예시로, 운을 확률적으로 풀어낸 부분은 굉장히 흥미로웠다.

또 소개해 준 여러 이야기들 중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운이 나쁜지, 좋은지 객관적인 지표가 무엇이냐는 부분이다. 일본인 야마구치 쓰토무라는 사람은 업무차 히로시마에 갓다가 원자폭탄을 맞고 살아났다. 이후 고향 나가사키에 돌아와서 상관에게 상황을 보고하는 순간, 또다시 원자폭탄을 맞았다. 야마쿠치는 이 때 역시 죽지 않았고 93살까지 살았다. 야마구치에게 이는 행운일까? 불운일까? 이런 애매한 상황에 '세계에서 가장 불운한 사람들', '세계에서 가장 운 좋은 사람들' 명단에 동시에 올라가 있다고 한다.

야마구치에게 닥친 일이 불운인지, 행운인지 보는 관점은 개인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낙관주의인지, 비관주의인지에 따라 불운인지 행운인지 평가가 달라지는 것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낙관주의자가 사고(불운)보다 생존(행운)을 더 크게 인지하며 반대로 비관주의자들은 생존보다 사고를 더 크게 본다는 것이다.

'운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운은 단순히 내 의지와 사고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된다. 남이 보기엔 운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부분도 운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또 불운임에도 또다른 행운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관점의 차이로 미래가 가능성이 가득한 밝은 빛으로도, 온갖 위험이 도사리는 어둠으로도 보일 수 있다. 내 세상이 행운으로 가득하도록, 앞으로도 긍정적인 태도로 세상을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