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제적 캐릭터 심리 사전 - 창작자를 위한 캐릭터 설정 가이드 ㅣ 문제적 심리 사전
한민.박성미.유지현 지음 / 시크릿하우스 / 2022년 10월
평점 :

영화나 책에서 이야기를 더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소재는 단연 매력적인 등장인물일 것이다.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주인공부터 주인공과 대립하는 악역까지. 답답할 정도로 착한 주인공과 수단과 방법 가리지 않고 온갖 악행을 저지르는 악역의 모습을 보면, 그걸 지켜보는 우리들도 악역보단 선한 주인공을 응원하며 마무리는 권선징악으로 이루어지길 원한다. 하지만 때론 주인공도 완벽하지만은 않고 악역도 그 나름의 사정을 갖고 있는 것을 알게 된다. 이 책 '문제적 캐릭터 심리 사전'은 그런 여러 캐릭터들의 심리를 살펴보며 그들에 대해 더 깊숙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영화에 나오는 여러 등장인물 중에 내가 가장 마음이 쓰이는 유형은 소심하고 위축되어있으며 수동적인 유형이다. 남에게 싫은 소리 한 번 하지 못하고 휘둘리는 모습이 안쓰러우면서도, 차차 성장하는 모습을 보는 과정도 즐겁기 때문이다. 영화 '김씨 포류기'에 나왔던 여자 김 씨도 그런 유형이다. 흔히 은둔형 외톨이라 불리고 가족들에게조차 얼굴 한 번 비추지 않는다. 그러다 남자 김 씨를 알고 서로 소통하게 되며 각자의 인생에 구원자가 된다.
은둔형 외톨이가 된 김 씨의 행동에 대한 설명은 순전히 얼굴 흉터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책 '문제적 캐릭터 심리 사전'에선 좀 더 많은 정보를 던져준다. 설명한대로, 김 씨는 타인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현실에서 충족될 수 없는 욕구와 소망을 환상을 통해 충족한다. 다른 사람들이 산 물건, 상황을 훔치며 꾸미고 그것이 현실인냥 위안을 삼고있어 마음이 아팠던 부분이다.
또 부모님의 지나친 개입과 다른 사람들의 부정적 평가가 이러한 회피성 성향을 만들 수 있다. 영화 '블라인드'에선 사람들에게 상처를 받은 마리아는, 자신에게 사랑을 주는 존재가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믿지 못하고 피해버린다. 아마 '김씨 표류기'에서 김 씨도 평범하게 사람과 교류를 했다면, 그 역시 피해버렸을지 모른다.
'문제적 캐릭터 심리 사전'에서는 다양한 작품을 소개해주는 것뿐만 아니라 그 속 캐릭터를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또, 작품에서 미처 담기지 않았던 각 인물이 '왜' 그런 행동과 생각을 했는지 짐작해볼 수 있다. 내가 좋아하던 작품을 더 제대로 파고들 수 있게 되어 재미있었다. 또, 작품 속 인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실제 사람들의 심리를 이해하는 데에도 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