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의 발견 - 동서고금을 통틀어 가장 흥미로운 독 이야기
후나야마 신지 지음, 공영태.나성은 옮김 / 북스힐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이란 섭취나 접촉으로 인해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성분을 말한다. 오늘날엔 어떤 식물이나 생물이 독을 가지고 있는지 잘 알려져 있고 설사 독이 있다고 해도 독을 중화시키거나 해독시킬 방법까지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특히 고사리나 복어도 즐겨먹는데 이들은 독성이 있어 해외에서는 잘 먹지 않는다고 한다. 이 외에도 독은 생각보다 일상 곳곳에 있다. 살충제나 세제, 제초제도 독이라고 할 수 있고 몸 속의 아드레날린이나 인슐린도 과하면 독이 될 수 있다. 이밖에도 독이라 할 수 있는 것들은 또 무엇이 있을까?



이 책 '독의 발견'에서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독성식물을 소개해주고 있다. '독'이라고 하면 안 좋은 인상을 주지만, 독과 약은 한끝 차이이다. 실제로 독이 약으로 쓰이는 경우도 왕왕 있다. 매우 강한 신경독인 보툴리눔 독소는 보톡스라는 약제로 개발되었고, 필리핀 원주민이 사냥할 때 쓰는 독이 인도에서는 위장약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독이나 약의 효능이 높으면 높을수록 부작용 또한 강하며, 그렇기에 그 양면성이 반드시 존재한다고 봐야한다. 우리가 약뿐만 아니라 독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하는 이유이다.

'독의 발견'에서는 여러가지 독을 화합물로 풀어서 설명해준다. 이 독이 어떤 화합물로 구성되어있고, 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되어있다. 또 각 위인들이 쓴 독에 대해 알려주니 더 흥미로웠다. 특히, 과거 중국에서는 불로불사 약을 얻기 위해 '연단술'이라는 광물을 재료로 영험한 약을 만들려는 기술이 생겨났고 단약이 생겨났다고 한다. 그 중에서도 수은을 황과 반응시키면 붉어지고, 이를 고열로 가열하면 원래대로 돌아간다. 다시 공기 중에 서서히 가열하면 붉은 빛을 띄고 고온에서 가열하면 원래대로 돌아간다. 이러한 성질때문에 불로불사와 연루시킨 것이 흥미로웠다. 수은은 맹독이기에 이를 복용한 역대 황제들은 단명했지만 말이다.

'독의 발견'은 단순히 어떤 독이 있는지 설명해주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독의 정의와, 독의 기원, 침입 경로, 작용 등에 따라 독을 분류하고 독이 쓰인 역사를 말해준다. 꽤 깊고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알찼다. 마냥 독이라고 해서 피할 생각만 했는데 이제 독이 약으로도 쓰인다는 것을 알았으니 약과 독을 더 폭넓게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