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손길 페르세포네 × 하데스 1
스칼릿 세인트클레어 지음, 최현지 옮김 / 해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 누구나 즐겨봤을 '그리스로마신화'는 말그대로 그리스 신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나오는 제우스, 헤라 등 12명의 주신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나는 하데스 이야기를 가장 좋아했다. 하늘과 바다처럼 사람들이 접할 수 있는 공간이 아닌, '저승'을 다스린다는 것이 신비하게 느껴졌고 또 다른 신들에 비해 등장이 적은 것도 저승과 하데스에 대한 상상력을 커지게 만들었다. 그 와중에 하데스에 관련된 유명한 일화 중 하나인 페르세포네와 만남은 의외이면서 무척 파격적이었다. 생명을 관장하는 신의 딸인 페르세포네와 죽음의 신인 하데스의 만남이라니 참 아이러니하다. 그렇다면 '어둠의 손길'에서는 이들의 만남을 어떻게 그리고 있을까?



'어둠의 손길'에서는 독자적인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다. 어릴 적 읽었던 신화처럼 고대 그리스의 모습이 아니라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페르세포네는 언론인을 꿈꾸는 학생으로, 하데스는 거대한 클럽을 운영하는 자산가로. 저승과 신, 임프 등 판타지적 요소까지 챙겨넣었기에 더 흥미로웠다.

거기다 각 인물의 성격이나 관계도 입체적이다. 특히 페르세포네와 그의 어머니 데메테르는 좋다고만 할 사이는 아니다. 데메테르는 페르세포네를 과보호하고 있었고 임프들을 이용해 페르세포네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까지 하고있었다. 실제 신화에서도 페르세포네가 너무 아름다워 이를 염려한 데메테르는 페르세포네를 섬에 숨겨 키웠다고 한다. 실제 신화를 적절히 각색시켜 내가 어릴 적 그리스 신화를 보며 떠올렸던 신들의 모습과 비슷했다.

신화에서 페르세포네는 등장이 적고 나와도 수동적인 모습밖에 비쳐주지 않아 궁금한 신 중 하나이다. 그런 페르세포네가 주인공으로서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신선했다. 데메테르의 감시를 빠져나온 것도 모자라 데메테르가 싫어하는 하데스가 운영하는 클럽에 간다니!

그 곳에서 그토록 만나고 싶어하던 하데스를 만나게 되고 묘한 기류에 빠져든다. 신으로서 아직 미숙한 페르세포네와 거대한 클럽을 운영하고 사람들과 거래하며 원하는 바를 얻는 사업가 하데스의 서로 다른 모습이 재미있다. 서로 다른만큼 의외의 모습을 보여주기에 앞으로 어떤 모습을 보여줄 지 더 기대가 된다.

우리가 잘 알고 있고 어떤 결말을 맞이할 지 알고 있지만, 그 결말까지 어떻게 풀어낼 지 흥미진진하다. 페르세포네와 하데스가 어떻게 만남을 이어갈 지, 데메테르를 포함한 다른 신들은 어떤 행보를 보일지 기대된다.

더불어,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가 떠올릴 정도로 높은 수위와 에로틱한 묘사 역시 하나의 관전 포인트이다. 이 다음 시리즈인 악의의 손길, 파멸의 손길 역시 얼른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