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으면 다 끝나는가? - 삶, 죽음에 길을 묻다
오진탁 지음 / 자유문고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많은 상상력과 과학 기술을 축적해온 오늘 날에도, 죽음 후는 아직 밝혀내지 못한 수수께끼이다. 하지만 분명한 건, 죽음은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이다. 죽은 후론 현실에 어떤 개입도 할 수 없고 이뤘던 모든 관계도 끊기며 남은 것은 아무것도 없이 끝이 나버린다. 죽음은 정말 완전한 끝일까? 그렇다면 영혼은 존재하는가? 죽음은 육체를 소멸로 인도하지만 영혼이 있다면 죽음의 순간 어떻게 되는 것일까? 이 책 '죽으면 다 끝나는가?'는 죽음 이후 어떤 답을 내려주고 있을까?


푸른 나뭇잎이 노란색, 붉은색을 변하다 다시 푸르게 돌아오는 것을 보여주는 표지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우리의 삶은 죽음으로써 끝나는 것이 아니다. 바로 윤회를 통해 새 삶을 얻을 수 있다. 윤회의 증거는 여러가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티벳의 달라이 라마의 환생자를 찾는 이야기이다. 죽은 린포체의 임종 시기, 환생 장소 등으로 다음 환생자가 태어날 곳을 좁힌 다음, 환생자를 찾을 파견단을 보낸다. 그리고 아이가 태어날 때 있었던 기이한 현상, 강한 특성, 꿈이나 환영을 통해 환생자를 발견해낸다. 현재까지 이 문화가 이어져 있는 것도, 실제 환생이 이루어지는 것도 신기하고 놀라울 따름이다.

윤회가 존재함으로써, 우리는 자기 자신이라는 자아를 더 확장할 수 있다. 물론 지금 겪고 있는 모든 운을 윤회의 탓으로 돌리면 안된다. 윤회는 전생의 인과로 인해 현재 우리가 있고 또 다음 삶을 위해 삶을 바르게 영위하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죽음이 끝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삶을 위한 시작이라고 하니 좀 더 삶에 애착을 가지고 충실히 살 마음이 들지 않는가?

'죽으면 다 끝나는가?'에서는 '죽는 법을 배우는 것은 사는 법을 배우는것이다'라고 말한다. 이는 자신의 삶을 어떻게 살아갈 지, 훗날 죽음의 순간 어떻게 죽음을 받아들일 지 항상 생각하며 삶을 보낸다는 뜻이다. 눈앞의 재물이나 관계에 연연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관철하며 살아간다면 자연스럽게 답이 주어질 것이다. 이 책은 너무 죽음이 두려운 이에게, 삶이 버거운 이에게 한 번 읽어보라 권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