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 괴물 백과 - 신화와 전설 속 110가지 괴물 이야기
류싱 지음, 이지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0월
평점 :

괴물의 존재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어디에나 등장하는 매력적인 존재이다. 우리나라도 이무기, 구미호, 도깨비 등 수많은 귀신과 괴물들이 전래동화에 존재해왔다. 일본, 중국은 우리와 같은 동양이라 그런지 괴물의 모습도 비슷한 점이 있다. 다른 서양에서도 괴물은 존재해왔다. 스핑크스, 드라큘라, 판, 가고일 등 색다르면서 이젠 우리에게 익숙한 모습들이다. 사람들은 왜 이러한 괴물을 그려낸 것일까? 이들 중 실재하는 괴물은 없을까? '세계 괴물 백과'는 우리나라 괴물이 아닌 가양각색의 다양한 괴물들을 소개해주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가 모르는 새로운 괴물들의 모습을 파헤쳐가는 것은 꽤 즐거운 일이 될 것이다.

'세계 괴물 백과'는 평소 우리가 접하기 어려웠던 괴물들도 소개해주고 있다.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괴물 뿐만 아니라 이집트 신화, 고대 신화, 종교와 전설에 나오는 괴물들까지 있어 세상에 이렇게 많은 괴물들이 있었나 싶다. 각 괴물들마다 사진이나 그림과 함께 소개해주고 있어 어떻게 생겼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사람과 비슷한 모습의 괴물이 있는가 하면, 사자나 뱀같은 동물에 가까운 모습도 많았다.
수많은 괴물 중 하나를 소개하자면, '고르곤'이라는 멧돼지의 어금니를 가진 괴물이다. 멧돼지의 어금니, 부릅뜬 눈, 내민 혀 등이 특징이다. 또한 뱀이 머리카락을 휘감고 있거나 머리에서 뱀이 자라는 모습도 보인다. 이 때문에 그리스 초기엔 용 혹은 뱀 숭배 사상 때문에 이 고르곤 형상은 신전에 장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여기서 우리는 비슷한 괴물 하나를 더 생각할 수 있다. 바로 메두사이다. 고르곤은 메두사의 토대라고 볼 수 있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디오도르는 이 괴물에 대해 이성적으로 해석하고자 했다. 고르곤은 여성 전사 부족을 일컫는 말이며, 페르세우스가 이 부족과 전쟁을 벌여 승리를 거두어 능력을 인정받았다는 것이다. 여태 그리스 신화를 '신화'에만 가둬 생각했는데 실제 역사와 연관지을 수 있다는 점도 재미있다.
괴물들은 사람들이 만들어낸 상상의 산물이다. 이 상상은 시대적 배경 뿐만 아니라 사람의 바람도 담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당시 어떤 신화(종교)를 믿고 있었는지, 사고 방식은 어땠는지, 지향하는 바는 어떤지 짐작할 수 있다. 상상의 산물을 통해 그들을 엿볼 수 있다니 '세계 괴물 백과'를 통한 또 다른 묘미이다. 다른 지역, 다른 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모습과 비슷한 능력의 괴물들도 찾아볼 수 있어 사람들의 삶은 어딘가 일맥상통하는구나 느껴볼 수도 있었다.
또한 이렇게 다양한 괴물의 모습을 보며 더 큰 상상을 펼쳐볼 수도 있어 읽는 내내 즐거웠다. 괴물은 이제 과거 일이 되어가고 있다. 과학과 기술이 발달한 현대에선 이런 재미있는 모습과 상상이 적어지는 것 같아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