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환자
재스퍼 드윗 지음, 서은원 옮김 / 시월이일 / 2020년 8월
평점 :

'그 환자'의 서술자이자 주인공인 파커는 약혼녀 가까이 머물고 싶어 그녀의 집 근처 병원을 찾아다니며 면접을 보게 된다. 명망 있는 의대를 졸업하고 성공적인 미래가 펼쳐져있는 길을 마다하고 결국 코네티컷 주립 정신병원이라는 곳에 근무하게 되고, 이 곳에선 바로 '그 환자'를 만나게 된다. 30년 넘게 병원에 수용되어 있고 '조'라고 불리지만 그의 실명은 아무도 알지 못한다. 조는 병실에서 나오지 않고 그와 만나는 사람은 최소한의 용무를 위해 잠깐씩 드나드는 간호사나 간호조무사 일부뿐이었다.
파커는 이 환자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다. 새로운 곳에서, 본인의 힘으로 모두에게 무시받던 환자를 낫게 한다면 의사로서의 보람과 자신감이 샘솟을 것 같았다. 젊고 야심찬 치기어린 의사에게 해내지 못할 건 아무것도 없을 것 같았다. 나 또한 정말 조에게 오랫동안 관심을 주지않아 악화된 것일 뿐, 조금만 들여다본다면 조의 병도 실상은 아무것도 아니지 않을까 기대되기도 했다. 하지만 조를 마주하겠다는 그의 얘기를 들은 병원 관계자들은 웃어넘기거나 절대 그러지말라는 경고를 남길 뿐, 동조해주는 사람 하나 없었다. 과연 조에게는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는 것일까? 조는 과연 치유될 수 있을까?

조와 파커가 처음 만났을 때 내 상상과는 너무도 달랐다. 파커가 몰래 서류를 열람하고 선임과 싸우고 병원장과 면담하며 겨우겨우 조를 담당할 기회를 얻었던 것과 다르게, 조의 만남은 너무나 평범했다. 조는 자연스럽게 대화가 가능하고 감정도 내비쳤다. 또한 듣는 이가 안타까울 정도로 위축되고 무기력해보였다. 조는 병원에 희생된 피해자처럼 보였다. 조는 중증 정신병자가 아닌 일반인처럼 보였다.
파커가 첫 면담을 마치고 나온 날, 그는 꿈을 꾸었다. 어릴 적 어머니가 정신병동에 갇혀 팔을 뜯는 모습이었다. 그에겐 그 모습이 트라우마로 남아있다. 왜 하필 지금 그런 꿈을 꾼 것일까? 생각해보면 조를 진단했던 다른 의사들도 악몽을 꾸고 환청을 듣고 헛것을 보며 미쳐갔다는데 파커에게도 그 전조증상이 나오는 것일까?
조는 정말 위험인물일까? 하지만 조의 말이 조리가 있는 데다 병원 측 증거는 하나같이 부실하다. 자신의 안위를 지키려는 방어기제일까? 파커가 정말로 믿고 싶은 건 어느 쪽일까?
파커는 착실하게 자신을 믿고 단서를 찾아나선다. 로즈와 토머스가 30년동안 발견하지 못한 치료방안을 그가 실마리를 잡은 것이다. 로즈와 토머스는 '의료적'으로 그에게 접근하느라 오히려 많은 단서를 놓치고 있었다. 파커는 그들에게 어떤 단서를 줄 수 있을까? 그 단서는 '그 환자'를 읽는 우리에게도 눈치채지 못하게 살며시 던져놓았다. 나는 알려줄 때까지 발견하지 못했지만 다른 이들은 찾아낼 수 있을까?
현재 우리는 고도의 의료발전을 이룩해왔다. 앞으로도 의료 발전은 계속해서 이루어질 것이고 정신과도 에외는 아니다. 하지만 아직 설명할 수 없는 일들이 많다. 영혼의 존재, 사후 세계, 천사와 악마 등 이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을까? 이들은 사실 우리와 가까이 있는 것이 아닐까? '그 환자'는 현실적이면서 그 속에 살고 있는 비현실적인 면모를 드러내준다. 언제 어디든 '조'와 같은 이가 우리 옆에 나타날지 모른다. 그가 나타나면 우리 마음 속 깊은 곳에 있는 공포를 마주할 수밖에 없으니 주의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