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데생과 크로키 : 기초 인물 드로잉
히로타 미노루 지음, 이유민 옮김 / EJONG(이종문화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어릴 적 그림을 그렸던 적이 있을 것이다. 나는 아직까지도 그림을 취미로 삼고 있다. 잘 그리지는 못하더라도 그림은 일상 틈틈이 나에게 활력을 주는 취미였다. 하지만 아무리 그려도 내가 그린 그림은 어딘가 어색하고 조잡한 느낌이 났다. 그림을 좀 더 잘, 그리고 생동감 있게 그리고 싶다는 욕심이 나지만 이제 혼자서 그림을 그리며 익히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여러 영상이나 책을 찾던 중 이 책 '인체 데생과 크로키'를 만나게 되었다. 



 사람은 그리기 어려운 대상 중 하나이다. 매번 움직이기에 시간을 들여 관찰하기 어렵고 정육면체나 원기둥같이 일정한 크기를 가지지도 않고 선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도 않다. 거기다 이렇게 복잡한 부위들이 이어져있으니 그리기 어려울만 하다. 사람의 신체는 그리기 어려운 요소들이 죄다 다 들어있는 듯 하다. 
 나는 주로 사람의 얼굴만 집중해서 그리는 편이었는데 그러다보니 몸체는 전혀 그리지 못했고 균형도 맞지 않았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 체 데생과 크로키 책에서는 각 부위를 어떻게 그려야 하는지, 주의해야 할 점은 뭔지, 세세히 알려주면서 점점 더 그리는 범위를 넓혀나간다. 따라서 그리다보면 어느새 이렇게 그리는구나 하고 대상 전체를 보는 눈을 키워갈 수 있다. 어떻게 전체를 보고 균형을 잡고 그림을 그릴지. 여태 나는 손 발 모두 그 형태에만 집중해 전체는 놓치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은 책과 사진을 보며 틈틈이 따라그리고 있는데 비교해보니 확실히 내가 어떤 부분이 미숙했는지 바로 알 수 있다. 뼈대나 근육이 어떻게 붙어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그리니 어색할 수밖에 없다. 뼈나 근육을 신경써야 크기나 모양이 잡히니까. 앞으로 그림 그릴 땐 부분보다 전체 균형을 보기 위해 전체 몸을 그리는 연습을 많이 해야겠다고 느꼈다. '인체 데생과 크로키' 책 속에는 손이나 발, 얼굴 부분뿐만 아니라 사람의 전체 몸 구조나 다양한 자세를 많이 소개해주고 있어 매일 하나씩 따라그리는 것만으로도 실력이 느는 것 같았다. 아직 미숙하지만, 전보다는 훨씬 많이 늘었다. 매일 사람 얼굴만 그리는 것보다 인체 전체를 유의하며 그리니 그릴 수 있는 범위도 넓어지고 다양한 자세, 다양한 각도에서 보는 사람의 인체를 익힐 수도 있었다. 앞으로도 꾸준히 연습하여 자연스러운 사람의 인체와 자세를 그릴 수 있도록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