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이사이드 클럽 스토리콜렉터 83
레이철 헹 지음, 김은영 옮김 / 북로드 / 2020년 5월
평점 :
절판



 만약 인간의 수명이 늘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그것도 100년이 아니라 300년 이상 살 수 있다면? 많은 부과 건강만 유지할 수 있다면 이를 누릴 수 있는 시간이 지속되는 건 마치 천국 같을 것이다. 여기서 주인공 레아는 우월한 유전자를 갖고 오랜 세월을 정부의 관리와 통제 속에 살며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하지만 천국같은 곳도 이면이 있기 마련이다. 누군가 풍족한 생활을 누린다면 누군가는 궁핍한 생활을 이어가고 있고 관리라곤 말하지만 구속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다. 그 이면이 커지고 커져 결국 정부의 통제에 반하는 '수이사이드 클럽'이 생겨났다! 이들과 아무런 연관없이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살고 있던 레아는 조금씩 그 진실을 들여다볼 수 있게 되는 기회가 생긴다. 



 '현재' 우리는 100년 내외의 삶을 살고 있지만, 개개인의 자유는 충분히 주어진다. 사람들이 무엇을 먹고 마시든, 생활패턴이 어떻든 정부가 개입할 여지는 없다. 하지만 '수이사이드 클럽'에서는 라이퍼들이 풍족한 삶을 누리는 대신 먹을 것, 마실 것, 행동 하나하나 감시되고 제한된다면 이건 삶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오히려 사육에 가깝지 않은가. 아무리 오래 산다 하더라도 내 행동에 일일이 간섭받는 환경이라면 오래 살아도 행복하지 않을 것 같다. 
 하지만 이면으론 사람의 삶 자체를 극도로 소중히 여기는 정점이 정부의 행동이지 않을까 싶다. 인간의 자살을 최대한 막고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 식단을 제한하고 위험분자를 제어하니까. 사회에서 어느 정도의 자유를 주어야할 지 생각이 들게 한다. 수이사이드 클럽의 최종적인 목표는 정부가 세운 정책에 반한다는, 자살이 목표이니 어디까지고 찬성하기엔 찝찝함이 남는다. 

 그래도 이것 하나만큼은 말할 수 있다. 태어날 때부터 유전자에 따라 라이퍼, 비라이퍼로 나눠지며 이는 사람에 따라 경중을 나누고 삶도 바뀐다. 이는 잘못되었다. 사람의 목숨과 삶은 비교될 수 없는 것이다. 모두가 똑같은 삶, 똑같은 선택을 한다면 이 사회는 기계적이고 고여있을 뿐이다. 이런 무미건조한 곳에서 감정을, 또 행복을 느낄 수 있을까? 내가 만약 라이퍼라면 사회의 부조리를 깨달은 이상 결코 귀를 막은 채 사는 삶 속에서 안식을 얻진 못할 것 같다. 비라이퍼뿐만 아니라 라이퍼들이 이 사회가 잘못 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바꾸려 할 때 더 큰 효과를 내는 것처럼 레아의 행보를 천천히 지켜보는 것도 공감과 함께 큰 의미가 있었다. 어쩌면 우리 미래의 모습일지도 모를 수이사이드 클럽, 삶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마음대로 길을 걷는다는 것, 음식을 먹는다는 것, 사람들을 만나고 얘기한다는 것 매순간순간이 얼마나 축복인지 깨달으며 책을 덮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