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의 가문 메디치 1 - 피렌체의 새로운 통치자
마테오 스트루쿨 지음, 이현경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메디치 가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메디치 가는 피렌체 공화국에서 가장 유력하고 영향력 높았던 가문이자 실제적인 통치자였다고 한다. 학문과 예술을 후원함으로써 르네상스 시대가 펼쳐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한다. 나는 이 책을 접하기 전까지 메디치 가에 대해 알지 못했지만 그 당시에도, 지금도 한 역사로 남아 우리에게 전해져오고 있다니 이들에 대해 궁금증이 일었다. 애초부터 그들 가문은 처음부터 가문이 그리 특출나지도 않았으며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한 시대에 영향력을 끼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메디치 가문이 어떻게 이토록 큰 부를 축적했는지, 그들의 행보는 어땠는지 이 책을 통해 따라가볼 수 있다.  



 메디치 가문은 코시모 데 메디치를 주인공으로 진행된다. 자신이 후원하는 돔 건축을 지켜보고 있던 코시모는 동생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아버지 조반니의 죽음을 알린다. 슬픔에 빠질 겨를도 없이 동생 로렌초는 아버지가 독살당한 것이라 생각한다는 충격적인 말을 내뱉는다. 그리고 아버지 죽음에 대한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는 코시모 앞에 온갖 음모와 위험이 도사린다.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쓴 책이지만 '소설보다 현실이 더 소설같다'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흥미로운 진행을 보여준다. 당시 귀족들의 모습과 권력을 쟁취하기 위해 어떤 일을 했는지, 어떻게 위기를 벗어나는지 매 사건마다 흥미진진했다. 최근 중세 유럽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책이 유행을 타던데 메디치 가문의 이야기는 실제 있었던 이야기어서 그런지 생동감 넘치고 몰입감도 높았다. 틈틈이 아는 지명이나 유명한 예술가가 나올 때면 반갑기도 하다. 

 메디치 가문은 예술 방면에 후원을 많이 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순전히 예술에 대한 동경과 순수한 자선 사업인 줄 알았는데, 메디치 가의 생각과 행동을 잘 살펴보면 그보다는 정치에 가까웠다고 느껴졌다. 사람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쌓고 그럼으로써 자신의 가문은 더더욱 부흥하는 것이다. 예술도 있는 그대로의 아름다움보다 권력의 수단으로 쓰인다니 신선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들의 행동이 확실히 르네상스의 부흥을 일으킬만큼 큰 공헌을 했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일이니 아이러니하기도 하다. 

 코시모 혼자의 힘이라면 가문은 현재 알려진 것만큼 커지지 못했을 것이다. 코시모 주위에는 든든한 아군이 있다. 엄격했던 아버지, 항상 자신의 곁에 있어주던 동생 로렌초, 아들 페에로 등 핏줄을 따라 ㅈ 전해져오는 '메디치'라는 큰 울타리는 그에게 완벽한 동맹을 만들어주었다. 이들은 코시모와 얽히고 섥혀 다양하게 사건에 개입하기 때문에 진행이 꽤 짜임새 있고 완성도가 높다. 

 1권에선 코시모의 활약이 주로 그려졌는데 그의 손자인 로렌초까지 등장하며 다음 세대로 이어질 것을 암시한다. 하지만 코시모도 아직 건재하기에 2권에서 더 그의 활약을 보여주지 않을까 기대된다. 소설보다 더 소설같은 역사를 바탕으로 한 '권력의 가문 메디치', 얼른 다음 권을 보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