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장 친절한 타로 리딩 북 - 78장의 타로카드로 점치는 ㅣ 가장 친절한 타로 시리즈
LUA 지음, 구수진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0년 4월
평점 :

누군가는 간절함과 함께, 누군가는 반재미로 타로를 본다. 타로는 어느 순간부터 우리 일상에 아주 익숙하게 자리잡혀 있다. 평소 사주나 점은 보더라도 서양에서 들여온 몇 장의 카드로 미래를 점친다는 건 안 믿기기에 관심을 두지 않았는데 점차 인기가 많아지는 걸 보니 호기심이 갔다. 어떻게 점을 치는걸까, 정말 타로는 믿어도 되는걸까, 카드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영적인 능력이 필요한가 등 타로에 대해 어느 것 하나 지식이 없는상태라 모든 것이 다 궁금했다. 쇠뿔도 단김에 뺴라고 이 참에 타로카드도 사고 어떻게 점치는지 차근차근 알아보기로 했다

'가장 친절한 타로 리딩 북'에선 카드 하나하나 이미지로 보여주면서 세세하게 설명이 들어가있다. 점치는 것이라고 해서 두루뭉술 하거나 신앙적인 설명이 있을 것이라 예상했는데 꽤 구체적인 설명이었다. 카드마다 설명도 정리가 되어 있지만, 질문, 상황, 카드 위치와 방향에 따라 일일이 타로카드를 보여줌으로써 타로 카드에 담긴 여러 의미를 익힐 수 있다.
타로카드는 단순히 그림이 그려진 카드일 뿐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려진 모양들 하나하나가 뜻하는 바를 가지고 있고 그걸 캐치해내는 것도 중요하구나 느꼈다. 그래서 타로카드를 다루는 데 특별한 영감이나 기술은 필요없다. 또 그렇기에 스스로 진정으로 원하는 답을 이끌어내거나 무의식적으로 생각하던 부분을 짚고 넘어가게 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즉, 내 마음을 솔직하게 들여다보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한다. 막연히 혼자 생각했을 땐 같은 생각만 맴돌고 떠오르지 않던 것이 카드를 통해 나 아닌 다른 것이 답을 내준다고 생각하니 색다른 답을 내는 것이다. 설사 카드가 생각지도 못한 답을 내놓더라도 카드의 의미를 찾아나가면서 또 힌트가 될 수 있다. 직접 타로카드를 만져보니 허무맹랑한 미신을 쫓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각으로 문제를 해결할 기회를 전해주는 것 같다.
타로가 전해주는 미래가 최선일지 알 순 없지만 이 또한 내가 선택한 것이다. 혼자 타로점을 쳐보는 건 흥미로우면서 새로운 답을 찾을 수 있는 굉장히 의미로운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단순히 점심거리를 고민하는 것부터 정말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모르는 중대한 고민거리까지 다시 되짚어보면서 내 선택에 확신을 심어준다. 책에서 권해준 것처럼, 앞으로 하루를 마무리하며 타로로 점쳐봐야겠다. 내가 어떻게 카드를 해석하고 답을 찾았는지 기록해두면 지금은 미숙하더라도 점차 풍성하게 타로를 읽는 능력도 발전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