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의 왕
니클라스 나트 오크 다그 지음, 송섬별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어느 날, 방범관 미켈 카르델은 호수에서 시신을 발견한다. 짐승 사체인 줄 알았던 것은 건지고보니 팔다리가 절단된 시신으로, 눈과 이, 혀도 없는 상태였다. 한편, 뛰어난 법관으로 유명세를 떨치던 세싱 빙에에게도 소식이 전달되며 비밀리에 수사를 해달라는 부탁을 받게 된다. 전쟁의 아픔을 간직한 퇴역군인과 시한부인 탐정. 마치 셜록 홈즈가 생각나는 소설이다. 서로 상극처럼 보이지만, 그 둘이 힘을 합치면 누구보다 큰 시너지 효과를 보일 수 있다. 그들은 어떤 방법으로 이 상황을 헤쳐나갈까? 



 '늑대의 왕'이 쓰인 시기는 혁명과 암살로 세상이 흉흉한 분위기에 싸여 있던 때이다. 그래서인지 어둡고 침체된 분위기가 전반에 깔려있다. 거기다 호수라는 배경 때문에 더 침울하고 차가운 느낌이 들었다. 사건과 잘 어우러지는 분위기가 몰입하는 데 더 도움이 되었다. 생생하게 눈 앞에 그려지는 묘사에 마치 영화를 보는 것 같은 착각이 든다. 

 주인공들은 하나씩 결핍이 되어있다. 카르델은 신체적, 그리고 전쟁에서의 죄책감. 세실 빙에는 폐결핵으로 죽어가며 아내와 이혼한 상태이다. 거기다 카르델은 세실의 이성적이고 철저한 성격에 거부감을 느낀다. 이들이 어떻게든 합을 맞춰나가며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보면 새로우면서 재미있다. 

 

 주인공인 이들의 시점으로만 나오는 것이 아닌, 다른 이들의 이야기도 등장한다. 잔인하고 안타까운 다른 이야기들도 서로 연간이 없어보이지만 끝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사건이 어떻게 해서 일어나게 된건지, 좀 더 심층적으로 사건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다른 소설이었다면 사건이 일어난 후, 범인을 잡는 데에만 초점을 맞췄을텐데 이건 오히려 과거를 되짚어 사건을 이해시켜주니 신선했다. 강렬한 현장감에 오싹한 반전과 탄탄한 스토리가 꽤 즐거운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