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박미경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 왕비인 카트린느 메디치는 구교도와 신교도의 화합을 핑계로 자신의 딸, 마그리트 드 발루아를 앙리 드 나바르와 결혼시키며 이야기는 진행된다. 하지만 종교의 화합을 위한 결혼식이 무색하도록 종교의 갈등은 깊어져만 간다. 카트린느 메디치는 오늘날 '성 바르텔레미의 학살'이라고 불리우는 사건의 방아쇠을 쥐고 있었고 이 사건 이후 구교도와 신교도의 갈등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게 된다. 이처럼 그녀는 프랑스의 왕비이자 앙리 3세의 모후로서 자신의 야심과 권력을 끊임없이 발휘하며 사건의 배후에 서있다. 그래서 이 이야기 속에서 카트린느 메디치의 존재는 중요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왜 제목은 카트린느 메디치가 아닌,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일까? 여기서 말하는 그녀의 딸은 마그리트 드 발루아이다. 그녀는 많은 정부를 두고 있어 앙리 드 나바르와 결혼이 달갑지 않았고 자유로운 생활을 꿈꾸었다. 하지만 그녀도 마냥 쾌락과 다른 사람의 의견만 쫓는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었다. 그녀 역시 자기 의지를 가지고 지위와 권력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그렇기에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이지만 모후가 원하는대로 그녀는 움직여주지 않았다. 그렇기에 사건은 더 흥미롭게 흘러가는 것이다.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을 읽으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건 마그리트 드 발루아이다. 많은 소설 속에서 사랑 이야기가 빠질 수 없는데 이 이야기에서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마그리트 드 발루아와 앙리 드 나바르는 결혼까지 했지만 사랑으로 묶인 관계가 아니다. 결혼 순간부터 그들은 이미 좋아하는 정부가 있었고 그러면서 정치적 이해관계가 맞아 함께 길을 나아가게 된다. 의지가 확고하거나 대쪽같은 만화캐릭터 같은 성격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바뀌는 입장 차이, 목숨을 부지하기 위한 거짓말, 위기 대처 능력 등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몰라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다. 
 마그리트 드 발루아는 왕가의 권력과 지지를 견고히 하기 위해 정략 결혼을 했지만 자신의 어머니인 카트린느의 편에 서기보다 남편의 옆에 서서 그와 함께 운명을 함께한다. 절실한 애정이 아닌 동료애로서 길을 함께 한다는 것이 신선했다. 그녀의 자유로운 성향만 자제했었더라면 그 둘은 끝까지 든든한 반려자로서 옆에 있을 수 있을 수 있었을텐데 아쉬웠다. 

 여태 역사랍시고 지루하게 여겼던 이야기들이 내가 좋아하는 흥미로운 소설로 새로이 접하게 된 게 신기하다. 너무 흥미진진해서 실제 있던 사건인지 인터넷에 검색까지 해보았다. 우리가 학교에서 역사라고 배웠던 건 그저 커다란 사건만 언급했던 것 뿐이었고 실제는 훨씬 풍부하고 다양한 숨은 이야기와 많은 사람들의 얽히고 섥힌 관계가 더해져 더 흥미로웠다. 더욱이 '실제' 있었던 일이라니 소설보다 더 흥미로운 이야기였다. 역사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더더욱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겠지만 역사를 모르는 사람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