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자역학의 미래, 큐비즘이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구하다
한스 크리스천 폰 베이어 지음, 이억주.박태선 옮김 / 동아엠앤비 / 2018년 10월
평점 :

제목부터 과학 용어가 쏟아져 무슨 말인가 하겠지만, 큐비즘은 어떤 것인지 애매하더라도 '양자역학'과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흔히 들어봤을 것이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밀페된 상자에 있는 고양이는 관찰자가 직접 보기까지 죽은 상태와 살아있는 상태가 함께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있다는 사고실험이다. 살아 있기도하고 죽어있기도 한 상태라니 모순적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 찝찝함을 '큐비즘'이라는 새로운 이론에 의해 해결 된다는 것이다.
'양자역학의 미래 큐비즘이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구하다'는 책의 제목처럼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역설의 답은 '큐비즘'을 내놓는다. 큐비트는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의 확률에 대한 관측자의 신뢰를 말한다. 즉, 고양이의 상태에 주목하는 게 아니라 미래 관측에 대한 확률을 제공해주는 수학 공식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미 결과가 나온 후엔 그 전의 고양이 상태는 의미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는 책의 예시처럼 동전을 던졌을 때 떨어지기도 전에 결과가 앞면이면서 뒷면이라고 얘기하는 것과 같다.
기존에 있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시각을 접목시키다니 물리학은 굉장히 흥미롭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단순히 있는 물체와 움직임을 수치화시킨다고 생각했는데 나아가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고 또 접해보지 못한 우주, 빛 등 추상적인 공간을 손에 잡힐 수 있게 해준다니 굉장히 매력적이다. 또 마냥 완벽하게만 보였던 물리학자들도 끊임없이 연구하고 우연히 해답을 찾기도 한다는 점이 재미있었다.
이 책에선 우리가 '큐비즘'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그 자취를 차근차근 따라가게 해준다. 양자부터, 파동함수, 확률까지 설명해주어 물리학이 어려운 사람들도 파악하기 쉽게 적혀있다. 게다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마다 그림 설명과 이해가 단번에 가는 비유까지! 물리학은 딱딱하고 재미없다는 인식이 강했는데 이 책은 독자들에게 최대한 풀어주고 이해시켜 주려는 정성이 돋보인다. 여러 이론들이 눈에 보이는 것처럼 명확한 게 아니니 애매하고 헷갈릴 만한데 이런 상세한 설명 덕에 흥미를 잃지 않고 쭉 따라갈 수 있었다.
물리학은 하나의 학문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는데 빅데이터가 이끄는 산업혁명까지 설명할 수 있다니 놀랍지 않을 수 없다. 물리가 어렵게 느껴지고 어색한 사람, 현재 물리의 진화가 어디까지 뻗어왔는지 궁금한 사람들은 이 책을 재밌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http://cafe.naver.com/jhcomm/13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