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 있는 저녁 - 서양철학 50 철학이 있는 저녁
리샤오둥 지음, 이서연 옮김 / 미래타임즈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면서 철학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는 얼마나 될까. '철학'은 흔히 말해 깊이 생각한다는 것이다. 나를 포함해 요즈음 사람들은 생각하는 시간조차 가지기 쉽지 않다. 더욱이 우리나라에서는, 철학은 쓸데없는 문학이 되어버리고 만다. 철학을 배울 수 있었던 학교조차 문학의 장이 아닌, 취업을 위한 공간으로 변질되어 버리고 말았으니까. 나도 철학에 대해 들여다 볼 기회가 없다가, '철학이 있는 저녁'을 통해 세계에 대해, 사람에 대해 한 번 탐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책을 읽으면서 이렇게 많은 철학자들이 있었는지, 신기하기도 했다. 또 목차가 사색에 잠기고 싶을 때, 우울할 때 등 기분에 따라 배열되어 있어 골라 읽을 수 있다. 이런 목차가 참 신선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각 목차마다 한 장 정도의 분량으로 각 철학을 깊이 이해하기엔 부족한 분량이었다고 생각한다. 또 철학 자체에 대한 논지보다 철학자에 초점을 맞춰 철학에 대해 알려주기보다는 위인전의 느낌이 더 났다. 차라리 철학의 주제가 되는 사람의 본질, 생각 등을 목차로 잡고 여러 철학자들의 의견을 교차해 보여주면 서로 비교하기도 쉽고 내 의견도 더 자연스럽게 떠오르지 않겠나 싶다.


 이 책은 비단 하루만에 모두 독파할 수 없는 책이다.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철학자들의 생각을 아는 것 뿐만 아니라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스스로 고민하게 되기 때문이다. 존재에 대한 성찰, 나를 둘러싸고 있는 세계에 대한 성찰은 나를 더 특별하게 느끼도록 만든다. 철학자와 생각이 같을 수도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거기에 내 나름의 타당성을 부여하고 살을 붙여나가는 것이다. 혼자 생각하는 것보단 다른 사람과 의견을 나누고 싶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훗날 시간이 지나면 과거엔 맞다고 여기는 생각과는 또 다르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철학은 우리를 이렇게나 넓게 뻗어나갈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보면 사람의 존재는 정말 신기하다. 어떻게 이렇게 까지 깊고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철학이 결코 어렵지 않고 나도 스스로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