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의 힘 - 그 많은 숫자들은 어떻게 전략이 되는가
이토 고이치로 지음, 전선영 옮김, 이학배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새 데이터의 힘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더욱이 데이터는 제 전공이기도 해서 어떻게 데이터가 이용되는지, 어떻게 데이터를 다루는 능력을 쌓을 수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사실 데이터를 다루는 건 꽤 많은 지식과 통찰력이 필요합니다. 만약 상품의 판매량이 갑자기 늘었을 때, 그 원인을 알고 싶다면 판매량이 늘기 전과 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아야겠지요. 그런데 현실에선 데이터가 무궁무진하고 또 그 이유가 될 수 있는 요인은 수없이 많습니다. 새로 출시한 광고가 될 수 있고 SNS의 여파일 수 있고 손님의 기호, 경제 상황 등 크고 작은 이유들이 수없이 존재하고 또 바뀌어 가기 때문에 '어떤' 요인이 진짜 매출량에 영향을 끼치는지 알기 어렵죠. 더욱이 한 가지가 영향을 끼치는 게 아닌,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전혀 예상치 못한 요인이 의외로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의 바다 속에서 진짜 우리가 필요한 데이터를 건지고 의미 있게 만드는 건 매우 가치 있고 놀라운 일입니다. 
 
 책을 보면서 전공 수업 때 여러 요인을 놓치고 있었던 실수, 더 정확한 결과를 보기 위해 수많은 자료를 수집했던 노력 등 통계 공부에 대한 기억이 떠오르더군요. 하지만 비단 전공자 뿐만 아니라 통계나 데이터에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공 용어없이 쉬운 말로 풀어져 있고 간간이 그래프도 그려져 있어 이해하기 쉽고 있을 법한 실사례들로 예시를 들어 더 흥미로울 것입니다. 게다가 요새 통계청의 신뢰성이 논란이 되고 있는 이 때, 본인이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척도와 지식을 갖고 있으면 마냥 미디어나 타인의 말에 휘둘리지 않고 스스로 생각하고 검증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데이터가 모이고 이용되어져가는 현대 사회에서 단순히 데이터가 있다고 증거가 되기 보다는 그 속에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지 판단할 수 있는 눈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을 통해 수많은 정보와 눈속임에 속지 않고 분별력 있는 지식인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