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평양
성석제 외 지음 / 엉터리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이례적으로 북한과의 접점이 많아지고 있다. 텔레비전에서 남북정상회담을 봐도 여지껏과 다르게 부드럽고 관계가 진척되어 나가는 게 눈에 띄일 정도이다. 정말 통일이란 게 먼 일은 아닌 것 같은 기대마저 들 정도이다. 표면적으로 다 믿어서도 안되고 마냥 호락호락하진 않겠지만 그래도 이렇게까지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시킨 건 이번에 처음인 건 사실이다. 북한과 가까워지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북한과 그 사회에 대해 제대로 알고 또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북한에 대해 생각하면 흔히 끼니도 제대로 챙겨먹지 못하고 생활은 억압되어 있으며 이웃까지 경계하며 말과 행동거지를 정부눈에 띄지 않게 조심하는 모습이다. 우리가 접하는 매체 모두 북한의 실상이라며 떠들고 우리도 당연하게 그렇게 받아들였던 것 같다. 언젠가 외국 기자가 북한의 일상을 찍어 올린 영상을 봤다.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북한은 못 살지도 않았고 오히려 우리나라의 모습과 흡사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우리가 아는 부분은 매우 적은 부분이구나 느꼈다. 앞으로도 북한과 관계가 진전되려면 북한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책에서는 북한에 관련된 여러 단편들이 엮어져 있다. 그리고 그 얘기는 누구나 짐작하듯 북한의 어려운 실상이라든가, 억압된 자유라든가, 탈북하고 싶지만 정부의 의해 좌절되는 그런 얘기들. 흔히 '우리나라에서 태어나서 다행이다' 라며 강건너 불구경하듯 안심하게 되는 그런 얘기들. 그런데 책 속의 얘기는 좀 더 새로웠다. 내가 말했던 판에 박힌 얘기가 아니라 분단 국가로서 서로가 겪었을 고통, 그리고 미래의 모습까지 그려낸 SF소설까지 다채롭고 신선한 소재들이 많았다. 판에 박힌 얘기가 아니었기에 지루하지 않고 흥미롭게 단편 하나하나를 읽었던 것 같다. 제일 재밌게 읽었던 단편은 '매달리다'와 나이트버스'였다. '매달리다'는 무고한 사람이 간첩으로 몰아 한 가정을 파괴시켜버린 우리나라의 독재정권 때 얘기다. 평범했던 한 가정이 어떻게 무너져 내리는지 이야기를 진행하는 문체가 담담해서 더 안타깝게 느껴졌다. 그리고 주인공은 끝까지 자신에게 벌을 주는 형태로 하루를 버텨낸다. 사건으로부터 오랜 시간이 지나버린 이상 복수를 하기에도 가정을 다시 되돌리기에도 이젠 너무 늦어버렸다. 주인공이 그저 몸에 고통을 받는 것으로 후회하고 참담한 현실을 견뎌내려는 것 같아 가슴이 아팠다. 그리고 '나이트버스'. 자신이 죽을지도 모르는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어떻게 될지 마음 졸이며 지켜보는 것도 재미있었고 점점 꼬여만 가는 상황을 어떻게 타파해 나갈지도 궁금했다. 아마 간첩의 일환으로 모였을 사람들이, 결국엔 남한에서 어우러져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무사히 여행을 마친다. 마지막에 주인공이 기타를 치며 자작곡을 노래하는 것도 좋았다. 모두에게 괜찮다고 위로해주는 것 같아 편안한 느낌이 들었다. 

 '안녕, 평양'에 들어있는 여러 소설들을 읽어보면서 과거에만 머물러 있던 북한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 깨우쳐진 것 같았다. 또 생각보다 내가 북한에 대한 편견이 깊이 자리잡구나를 느꼈다. 북한 사람이 꽤나 멀게만 느껴졌는데 좀 더 가까워진 기분도 든다. 이렇게 북한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깨부수고 새롭게 인식 전환을 할 수 있는 소설이 더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