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미안해 - 내 멋대로 살던 나. 엄마를 돌.보.다.
마쓰우라 신야 지음, 이정환 옮김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치매는 예전보다 가까운 질병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원인도 치료 방법도 몰라 제일 두려워하는 질병이기도 하다. 저자의 노모 역시 치매에 걸려버려 자신이 부양하는 상황에 처했다. 처음 얘기를 듣고 당연히 저자는 여자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놀랍게도 저자는 남자였다. 당연히 부모를 부양하는 사람은 남자일 수도 있는데 스스로 가부장적인 고정관념에 사로잡혀있던 모습에 놀랐다. 비단 부모님을 보살피는 건 여자만의 몫이 아닌데. 또 남자인 저자가 치매에 걸린 어머니를 어떻게 보살필지도 궁금해졌다. 성별의 차이가 꽤 큰 걸림돌이 될 수도 있을 테니까. 더욱이 도와줄 사람 없이 혼자 이겨내야 한다. 저자는 결혼도 하지 않았고 함께 사는 형제들도 없다. 이런 막막한 상황에서 저자의 심리와 상황이 어떻게 악화되고 헤쳐나갈지 궁금하기도 했지만 읽기도 전에 두려움이 앞서기도 했다. 누구에게나 필요한 얘기일 수 있겠지만 이 무거운 내용을 감당할 수 있을지 책을 읽기가 망설여졌다. 
 사실 나도 결혼 생각이 크게 있는 건 아니라 저자의 상황에 더 이입했던 것일지도 모른다. 저자는 자신의 내면이나 어려움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지 않아 생각보다 편하게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저자가 궁지에 몰렸다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치매에 걸린 노모를 모시며 종종 환각을 보고 어머니가 돌아가셨으면 하고 무심코 입밖에 중얼거리기도 하고, 기어이 마지막엔 폭력까지 행사한다. 아무래도 일상이 완전히 뒤바뀌어 버리는 거니 심리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한계에 다다랐을 것이다. 저자는 어머님의 치매 사실을 깨달았을 때 앞날에 대해 상상하며 치매로 인하여 벼랑에 몰린 사람들의 얘기를 경계했었다. 노인 학대나 동반 자살을 언급하며 이미 인지하고 조심했을 텐데 결국 어머니께 손을 대는 지경까지 가고 말았다. 아무리 사전 준비를 하고 지식을 쌓아도 결국 직접 몸소 체험하는 경험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새롭게 깨달은 점은 헬퍼, 즉 '타인'의 도움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주인공은 어머님을 남에게 맡기는 것보다 본인이 맡아야 할 책임이라는 생각이 강해 스스로 애쓰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어머니의 증세가 심각해질수록 더 힘들어한다. 결국 헬퍼의 도움을 받게 되는데 가까운 가족이니만큼 숨기고 싶은 모습이 있다는 아이러니한 마음에서 비롯된 것인 듯 싶다. 치매는 가까운 지인에게도, 부모님에게도, 나에게조차 일어날 수 있다. 치료법이 있으면 좋겠지만 현재 나와있는 치료법은 없다. 책에서 여러 제도와 도움을 받는 기관을 설명해주었지만 다른 나라이다 보니 활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미리미리 어디에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