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 있기 좋은 날 - 제136회 아쿠타가와 상 수상작
아오야마 나나에 지음, 정유리 옮김 / 이레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아오아먀 나나에의 소설 <혼자 있기 좋은 날>의 줄거리는
옮긴이의 말에 잘 나와 있다.
도쿄와 이웃한 사이타마 현에서 엄마와 단둘이 살던
스무 살의 여주인공 치즈는
엄마의 교환 유학을 꼐기로 도쿄에 혼자 사는
먼 친척 할머니인 깅코 씨의 집에 얹혀살게 된다.
(중략)
그 사이 연애를 하고, 그러다 차이고 상처받고 치유하기를 반복한다.
깅코 씨에게 온갖 심술과 어리광을 부리며 '어엿한 인간',
'무슨 일에도 견뎌낼 수 있는 그런 인간',
'매달 주민세도 연금도 의료보험료도 꼬박꼬박 내는
제대로 된 사회인'을 향해 조금씩 성장해 간다.
주인공의 삶은 작가가 대학을 졸업하고
도쿄에서 막 일을 배우기 시작했을 대의 모습이 담겨 있다 한다.
처음 부모의 곁을 떠나 자기 자신이라는
독립체로 살아가는 경험을 한다는 것은
어릴 때부터 웬만한 사람이라면 모두 꿈꾸어 본 설레는 경험임과 동시에
나 혼자서 잘 살아갈 수 있을까, 하는 두려운 경험이기도 할 것이다.
치즈는 그러한 외로움과 상처받기 싫다는 자기 보호를
다른 사람의 물건을 살짝 훔치는 것으로 대신하기도 한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절대적으로 가질 수 없다는 불안감이
도벽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무엇이든 무덤덤하고, 재미없고, 지루하기 짝이 없는 일상이라며
텔레스포트를 타고 훌쩍 몇십 년 뒤의 삶을 살고 말았으면 좋겠다
투덜거리는 치즈는
어른이 된다는 것이, 어른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아직은 버겁고 두려운 소녀이고,
이제 한 사람의 성인으로 살아가는 과정을 겪어가는 길이다.
조금은 밑밑한 듯도 한 이 소설은 이렇게
세상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 나가는
한 사람의 성장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 테다.
스무 살을 넘긴지도 어느새 12년이 지난 지금 이 시점에서도 난
가끔 주인공 치주와 같은 삶이 두렵고, 상처받을까 봐 두렵다.
밑밑하고 지루한 일상이라고 투덜거리면서도,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을까 봐 겁나기도 한다.
세상살이란, 그래서 혼자 있고 싶은 날이기도 하지만,
혼자 있기 마냥 좋은 날만도 아니란...
그런 생각을 갖게 해주는 책이라고나 할까...
ps.
개인적으로 옮긴이인 정유리 씨는 꽤 글을 잘 쓰는 분이란 생각이 든다.
일본어가 얼마나 탁월했는지 모르겠지만, 한국어로 옮기는 능력도...
전에 이 양반이 번역한 <애시 베이비>를 읽으면서도
그렇게 느꼈거니와,
이번 책도 마찬가지였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