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산무진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입한 지 오래되어 심지어 책배가 변색까지 되도록 난 이 책을 왜 안읽었을까라는 의문으로 책장을 휘리릭 넘기던 중 책의 맨 뒤 빈 페이지에 내가 책에 관해 낙서를 해 놓은 걸 발견했다. 그러니까 읽고서도 전혀 기억을 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책을 읽는데 읽은 적이 있는 듯 한 감도 없어 충격이었다. 도대체 나는 왜 책을 읽는가라는 자괴감이 들면서. 그래도 여전히 읽을테지만.


   낙서로 보아하니 내가 이 책을 읽은 때가 약 12년 전이다. 짐작컨대 12년전에 내가 소화할 법한 내용이 아니다. 그렇다고 12년이 지난 지금 온전히 소화했다고 보기 어렵다. 그의 소설집 <강산무진>은 그만큼 버거운 소설들의 모음이다. 소재에 대한 준비성이 너무 철저해서 직접 경험하지 않고는 나올법하지 않은 글들이고 (저자가 '폐경'을 경험했을리는 없지만 - 소설 중 '언니의 폐경'이라는 작품이 있다) '제발 그만'이라고 소리치고 싶을만큼 지리하고 집요하게 디테일을 파고든다. 인간이 그어놓은 기준으로 상류사회에서 하류사회의 인물까지 모두 등장하지만 결국 인생의 종결점으로 가면 비슷해진다. 모두 어떤 식으로든 병을 앓고 있기 때문이다. 진짜 암세포 덩어리이기도 하고 소통의 부재로 인한 병이기도 하고 대책없는 자포자기이기도 하다.


   8편의 단편 모두가 지극히 현실적이면서도 무의미해 보이는 숫자들이 분위기를 주도한다. 7:3의 재산분할, 8기통의 자동차, 부의금 5600만원, 12초 1섬광 등의 숫자가 없다한들 문제가 될까 싶으면서도 그 숫자들이 머릿속에 맴도는 걸 보면 작가의 의도임에 틀림없어 보인다. 소설들은 세상을 살아가는 수많은 사람들의 흔적에 대한 기록이다. 다만 그 흔적들 중에 찰나적인 부분인 '인간의 감정'을 극도로 배제한 채 써내려간 기록이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서 나는 어떤 기쁨이나 슬픔, 혹은 절망조차 느끼지 못하였다. 그저 비어있음과 공허에 대한 작가의 단상을 강요받은 느낌이다. 표제작인 <강산무진>에서 주인공은 이인문의 '강산무진도'를 보면서 8미터가 넘는 화폭에 끝없이 펼쳐진 강산의 모습에서 '내가 혼자서 가야 할 가없는 세상과 시간의 풍경'을 본다. 그 대책없는 끝없음이 꺾어버린 인간의 의지는 진정 회복될 수 없는 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