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보는 오싱 7 - 결혼편
하시다 스가꼬 지음, 이신 그림 / 청조사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난 오싱의 마음이 참 마음에 든다.

오싱은 비록 가난한 집의 딸이었지만 굳은 으l지를 가져

닥쳐온 어려운 일도 해쳐나갔다.

내가 보기로는 그 어떠한 어려운 일보다 오싱의 굳은 의지가

더 세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험난한 세상을 밝고,굳게 살아오려는 오싱,!

그런 오싱이 마음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스무스와 폰투스 시공주니어 문고 3단계 39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호르스트 렘케 그림, 문성원 옮김 / 시공주니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역시 이 지은이는 뭔가 다르다.

상상력이 느껴지고..작품의 노력이 깉든거 같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책중 하나인 삐삐 롱스타킹을 쓴 저자가 이책을 쓴것이다.

이책의 저자를 보는순간, 띵 충격받았다.

근더l 정성과 상상력은 느껴지는데..어딘사 미흡한게 있는것 같다.

모자라는 한가지.그것이 뭘까?

소설같은 느낌이 들면서도 재미없다.

그 빠진 한가지는 내가생각하기에

책 읽는 사람들의 관심거리가 아닌가 싶다.

보다싶이 마법으로 인기가 솟은 해리포터 책은

물런 흔한 마법으로 주제를 정했지만..남도 안한 거리를 꾸며 사람들의 관심을 산것같다.

하지만 이책은 흥분도 안되고 재미도 못느낀다.

그 정성과 상상력은 느낄수 있지만 그것만이 빠진것 같아 아시운 점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른 등 문지아이들 19
모카 지음, 이방 포모 그림, 김예령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엔 나도모를 흥분에 휩싸여 흥분되고 재미있었는데...계속 읽다보니 마지막에서 흥분을 떨어트렸다.

중국과자에 있는 무언가의 메세지를 보며 그 메세지의 뜻을 찾는데...

마지막 그 메세지의 뜻은 너무 황당비슷 하였다.ㅡㅡ;

마지막에서 그런 글을 써서 책을읽는 사람의 흥분을 떨어트리고 책을 읽는 재미를 떨어트리니..

이책 리뷰가 나혼자인건 당연하다.

이 작가가 메세지의 뜻을 모험 비슷하게 하면 정말 재미있게 읽었을텐데..

그리고 내용이 너무 짧았다는 생각이 든다.

20분도 채 안되서 다읽었으니 말이다...

이 작가가 상상력이 더 뛰어났으면 이렇게 마무리를 하지 않아두 되었을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준하 - 민주주의의 등불 우리시대의 인물이야기 1
김민수 지음 / 사계절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장준하를 읽기 전에 개그맨 장준하를 생각하며 무슨 연관있나 읽어봤다.(당연 관계없지.대답 바랬냐?ㅡㅡ;) 그는 언론가며 동시에 정치가였다. 이승만이 물러선 이후 칼과 군인으로 일어선 박정희에게 따끔한 비판 한마디를 하였다. '칼로 일어서면 칼로망한다'라는 말이었다. 그리구 나라의 평화를 위해...겨울이 오면 봄이 머지 않으리라는 생각을 믿고 열심히 사상계라는 잡지도 퍼내며 국회의원이 되어 언제나 정부의 바른 거울.조언이 되었다. 나는 장준하를 읽고 역시 험난한 세상에는 평화를 위한 사람이 나오기 마련이구나.이런 사람들이 있는데 우리에게 희망이 없지는 않다.라는 생각두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비 박사 석주명 우리시대의 인물이야기 2
박상률 지음 / 사계절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석주명이라는 사람을 알지만 나는 정치.사회.음악.국사와 관련있는 사람만 자주 찾기 때문에 석주명이라는 사람은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이책 시리즈는 다 재미있고 유익한거 같아서.. 이책을 보았더니 석주명이라는 세글자의 사람을 알게되었다.

석주명은 옛사람들이 가는 학문보다 떨어져있는.사람들이 관심을 갖지못한 빛줄기없는 어두운 그림자로 깔린 나비를 자기일생의 학문으로 삼았다. 남이 알아내지 못한것을 알아내어 나라를 빛추려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나비를 위해 가족.가정을 버리고 나비라는 학문으로 평생의 길을 바쳤다. '그렇게 까지 몰두할 필요가 있을까?'나는 그런 생각이 들었지만 석주명은 시간이 아까운듯이 하루종일 나비에게 관심을 쏟았다.

나는 이책을 읽고 가족까지 버리고 나비를 택한 사람인 석주명은 과연 휼룡하다고 볼수있지만..그렇게까지?너무 지나친거 아닐까?하는 생각도 바로 든다. 나비를 자신의 삶의 목표로 삼고 우리나라를 헤메던 사람. 과연 본받아두 되는것인가? 그의 의지는 본받고 싶지만 나비때문에 모든것을 버렸다는건 별로 좋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나비가 가족.가정보다도 그토록 중요한 학문이라는건가?

나비가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석주명이 10년.아니 죽을때동안 그렇게 고생한건 과연 의지가 컸다고 볼수있다. 그가 죽을때는 자신의 목표를 완성했다고 볼수있다. 그 희망없는 학문에게 희생하여 하나의 빛줄기를 비쳐냈지만.. 그뒤에는 가족.가정이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