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못 볼지도 몰라요 - 960번의 이별, 마지막 순간을 통해 깨달은 오늘의 삶
김여환 지음, 박지운 그림 / 쌤앤파커스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60번의 이별, 마지막 순간을 통해 깨달은 오늘의 삶

 

책을 읽는 이유.

다양한 간접경험

오늘 책을 통해 960번의 이별을 경험한다.

 

 

 

수많은 죽음을 경험하는 호스피스병동에서 의사로서의 삶은 어떨까?

 

죽음이라는 단어를 멀리 생각하지 않는 나는.

어느 순간 아무것도 전하지 못하고 죽을수도 있다는 것이

가장 두렵다.

 

그렇다고 매일 최선을 다해 사는것도 아닌데.

그러면서도 마지막에 막상 남길말이 무언지도 모르는 삶을 살면서도.

죽음이라는 것이 멀리는 건 아니라고 말하는 것도  모순일지 모른다.

 

책을 읽으면서.

마지막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며.

이런 사람, 저런사람.

그리고 그들의 곁에 있는 보호자들의 이런 모습, 저런모습을.

보여주며..나는 어떤 사람이지? 나는 내 사람의 끝에서 어떤 모습일까? 하는

질문만이 책을 읽는 내내 가득했다.

 

960번의 이별중에..

엄마가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그저 묵직해져오는 가슴언저리에

손이간다.

 

"미안해 미안해."

뭐가 미안한걸까?

자신의 죽음앞에서 무엇이 미안한 걸까?

 

엄마로 살지 않았다면..

모를 그 감정이..

미안해 라는 말에 페이지를 넘기지 못한다.

 

책이 슬프다? 라는건 아니다.

이 책은 슬프라고 만든 책이 아니다.

 

사람들은 마지막을 모른다.

나도 모른다.

몰라서 사실 더 두려운건데.

어찌보면 이렇게 죽음을 준비할수 있는 시간을 갖은 사람들은,

갑자기 떠난 사람들에 비하면 행복한 사람일지도 모른다.

 

죽음이라는게 두려운거라고..

그래서 두려워 벌벌 떨라고 하는게 아니다.

 

 

 

너무 작아서 잘 보이지 않는 글을.. 대신 적어 볼까 한다.

 

 

인생은 큰 꿈속에서 작은 꿈을 꾸는 것..

 

호스피스 병동은 그 거대한 꿈에서 깨어나는 곳이다.

당신을 뒤흔드는 마지막 지침의 삻ㅁ은

살면서 어떤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분명히 달라진다.

그동안 세상의 기대에 맞춰 사느라고 힘들었다면

이제는 벗어나라

 

 

지금이 당신의 남은 인생에서 가장 젊은 때이자

가장 건강한 때이다

주저하지 말고 당신만의 작고 신선한 꿈을

시작해야 한다

 

 

 

가장 전하고 싶은 말이 바로 이말이 아닌가 싶다.

책이 당신에게 하고 싶은 말..

책이 나에게 하고 싶은 말.

주저하지 말고 당신만의 작고 신선한 꿈을 시작하라.

 

늦었다는 말은..살아온 시간에 말하는 것이라는거.

살아갈 앞으로의 시간에서..

늦었다는 말은 없다는걸..

배우게 된 책..

 

 

 

<출판사에서 도서지원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