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맥 세트 (반양장) - 전10권 조정래 대하소설
조정래 지음 / 해냄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한줄 한줄을 가볍게 넘어가지 못하게 하는 책이라 다른 책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다. 이야기의 거대함에 질려서 디테일한 부분까지 머릿속에 또렷하게 떠오르지 않아 아쉽지만, 또 반대로 어느 순간 순간은 오히려 그 구체성이 거대함을 짓누르며 머릿속에 남아있다.

 

커다란 이야기를 다루는 역사소설은 大河小說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운다. 크, 역사를 커다란 강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한국어의 센스에 감탄할 수 밖에 없다. 서로가 성격을 부여받고 또 이야기를 끊임없이 주고 받는 수백명의 캐릭터와 탄력있는 기승전결, 썩 맘에드는 결말이 이 소설의 훌륭함을 말해주지만(캐릭터의 입체성이 없는 부분은 좀 아쉽다. 염상진은 너무 완벽하잖아) 태백산맥은 어쩔수 없는 역사소설이다. 왜 한국의 근현대사가 세계사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넌센스한 역사인지, 왜 2010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도 우리는 빨갱이와 파랭이 놀이를 하고 있는지, 이렇게 조그마한 땅덩어리에서 문딩이와 깽깽이는 왜 허구헌날 쌈박질을 하는지, 왜 노무현은 노무현이고 이명박은 이명박인지, 20세기를 다 보내고 태어난 우리에게 그 힌트를 알려줄 수 있는 책이 있음이 고맙다.

 

굳이 E.H.Carr를 끄집어내지 않더라도 이렇게 복잡한 한국사조차 커다란 물줄기에 담길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역사 아닐까. 똑똑하다고 설쳐대는 수많은 전후세대들이 사상이란 무엇인가 논하며 왼쪽이 옳으니 오른쪽이 옳으니 하며 댓글을 달아대는 것이란 어쩔 수 없이 유치한 짓일 수 밖에 없다. 책으로 읽어 머릿속에 만들어 낸 사상이란, 그 길을 선택하지 않으면 내 육체와 정신이 없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빚어내고 몸에 배인 사상과 비교하면 어쩔 수 없이 유치한 것일 수 밖에 없다. '나는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있다'는 거창한 말을 하기까지는 치열함이 필요하다.

 

가끔은 작가의 시선조차 편협함이 느껴져 불편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책을 씀에 있어서도 편협한 시선을 깨끗하게 마저 지울수 없는 것이 또 한국의 역사를 말하는 다른 방식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내가 가끔 끄적이는 글이 어쩔수 없는 아마추어의 글이라는 것을 감사하게도 팍팍 느끼게 해주는 소설들이 있어서 좋다. 백일동안 맛있게 읽었다 산맥아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