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 이론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김동윤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폴 바츨라빅(Paul Watzlawick)은 체계로서 가족의 특수성을 설명하기 위해 가족을 천장에 매달린 모빌에 비유한다. 그는 모빌을 가족에, 각 구조물을 가족 구성원에, 그리고 그 구조물들을 이어주는 실을 커뮤니케이션 규칙에 빗대어 설명했다. 모빌을 구성하고 있는 작은 구조물들은 각기 적당한 공간에서 다른 구조물들과 실로 잘 연결되어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때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구조물들 가운데 어느 일부에 압력이나 힘을 가하면 금방이라도 모빌의 균형은 깨지고 만다. 나아가 모빌의 구조물을 잇고 있는 어느 하나의 실이라도 잘릴 것 같으면, 모빌의 형세가 일그러져 균형을 잃고, 정상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가족이라는 체계 내에서 작용하는 미세한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모든 가족 구성원이 구사하는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면밀하게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특히, 바츨라빅은 가족 구성원 각자가 자신이 다른 구성원과 맺고 있는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강조한다.


가족 관계를 이러한 체계로 접근하는 이유는 사람들이 특정한 행동을 취하는 방식을 단순하게 설명해 내기 어려울 뿐 아니라 실제로 사람들의 행동 방식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다고 믿기 때문이다. 예컨대, 아버지가 아들에게 어떤 말을 건넬 때, 아들이 뒷주머니에 손을 넣은 채 듣는 행위는 아버지의 말이 그다지 달갑지 않거나 불만이 있을 때 나타나는 행동이다. 이때 아버지는 자신의 메시지를 아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했던 나머지 아들이 이 메시지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는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버지의 의사가 제대로 전달될 리 만무하다. 만약 이런 경우라면, 아버지는 아들이 자신의 말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 좀 더 근본적인 대화와 소통의 기회를 가져야 한다.


이는 대인 관계라는 것이 일차 방정식처럼 쉽게 풀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우리는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라는 식의 단순한 진술문만으로 표현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그래서 가족 간 커뮤니케이션 문제는 매우 복잡한 고차 방정식이며, 커뮤니케이터들의 태도와 감정, 그리고 상황과 맥락을 충분히 감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