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소설을 그리 읽는 편이 아니다. 소싯적 고전이나 추리물 좀 읽은 이후로는 전공 서적과 인문, 과학 교양서 위주에, 갈수록 책을 잘 안 읽기도 해서, 음, 그러니까 읽은 게 많지 않단 소리. 그래도 소설, 특히 추리물이 당길 때가 있는데 십수 년 전쯤 그랬던 것 같다. 고맙게도 나눔도 받은 덕에 읽던 계열 외 책도 접했다. 뭘 읽었는지 기억 휘발이지만.

 
대부분 까먹었지만 읽고 난 후의 감정이 뇌리에 잔향처럼 배어버린 책들이 있다. 당시 나눔 받은 책 무더기에 <우부메의 여름>이랑 <백기도연대> 시리즈가 있었다. 특히 백기도연대 장미십자 어쩌고 하는 제목(+서체)을 보고 요괴 소설이야 무협이야 뭐야 싶었지만, 그 시절 타지에서 한국어 소설이 고팠던 나는 바리바리 다 받아 왔던 것.
 
<백기도연대>는 탐정이 신기가 있어서 사건을 해결한다는 (내겐) 생소한 오타쿠(+오컬트)스러운... 추리물이랄까. <우부메의 여름>은 심상 자체가 기분 나빴다. 공포물을 즐기지 않는 나는 아무 정보 없이 읽었는데, 읽다 보니 찜찜한데 흥미롭기는 한 거다. 무서운데 궁금하고, 한번 읽으면 중도에 접지 못하는 강박(?)이 있(었)어서 꾸역꾸역 읽었고, 어느덧 그 음습한 이미지만 화석화 돼버렸다. 결론은 이 작가(이름도 못 외었더랬다)는 안 읽어야지.


 





바야흐로 2023년 여름. 폭염으로 진이 빠진다.
 
뭔가 정신적으로 몰리면 극단으로 간다고 (내 기준) 공포 소설이라도 읽고 (공포 소설은 읽겠지만 공포 영화는 안 본다) 정신을 깨우자는 생각이 든다. 십수 년 전 어떤 기억. <우부메의 여름>. 이름도 기억 안 나는 그 작가 책을 읽어 볼까?

 

그래서 <망량의 상자>를 골랐다. 작가 책 대부분이 상/중/하 셋으로 나뉘는데 이 책은 상/중 둘로 나뉘어서. 왜 이리 양이 많아. 근데 이 작가 아주, 굉장히, 엄청 유명한 거다. 내 생각을 훌쩍 널뛰어서(무지해서 미안합니다). 십수 년만에 작가 이름도 제대로 알았다 — 교고쿠 나쓰히코.


작가가 요괴 설화를 주요 소재로 한다는 건 알았지만, 더해서 일본 특유의 엽기성도 빼놓을 수 없다. 한데 여름 열기에 내 마음이 바싹 건조해진 건지 괴기하다는 기분이 별로 안 든다. 머릿속에 이미지는 떠오르는데 음, 그렇군 하고 끝. 아니면 교고쿠도의 일장 연설, 설교, 강연, 선문답, 장광설에 되레 진이 빠진 걸지도.

















+ <우부메>를 다시 읽어 볼까 싶다가도 내키지 않는다. 다시 보면 예전만큼 음침한 기분은 안 들 것 같다가도 시간이 이렇게 지났는데 기분 나쁜 심상이 너무 강렬한 거 보면 또 읽기 싫고. 교고쿠도가 얼마나 지식 설파를 해댈지도 무섭고. 다른 책 읽다 보면 언젠가 재독 할지도?
 
++ <광골의 꿈> 읽는 중. 초반엔 <망량>보다 몰입이 잘 됐는데 난데없이 프로이트... 가 웬 말인가. 일본 요괴 설화야 일장 연설을 해도 그럭저럭 읽겠는데, "수염 난 유대인"의 망령에 융까지. 작가가 그 누구보다 장광설+돌아이 캐릭터를 즐기는지 전개가 메타픽션 급. 사건의 줄거리에 달린 곁가지가 무겁다.


+++ 글줄(이라지만 말줄)의 향연에 지친 나머지 잡은 게 <마구>. 이럴 땐 페이지터너 — 히가시노 게이고 — 가 필요하다! 한동안 물려서 잡지 않던 책을 펼쳐든다. 야구 소재인 <마구>, 분명 안 읽었더랬다. 근데 읽을수록 익숙해. 이 기시감은 뭐지? 읽었나?? 어쨌든, 쓱쓱 군더더기 없이 넘어가는 전개에 속이 시원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