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롱뇽과의 전쟁>
서문만 읽는데도 별 다섯 개 찍고 싶다. <평범한 인생>, <RUR>로 빠져든 카렐 차페크의 세계. <곤충 극장>, 오른쪽 왼쪽 주머니 이야기도 빨리 읽고 싶은데 계속 안 읽고 있다. 제일 좋아하는 걸 가장 마지막으로 미루는 버릇을 고쳐야 하는데 말이다.

쏜살문고의 <개를 키웠다 그리고 고양이도>는 기존 <개와 고양이를 키웁니다>와 같은 책인 듯한데 다셴카 사진이 실려 있다. 폭스테리어가 원래 귀엽긴 한데 다셴카, 정말 귀엽다. <개와 고양이를 키웁니다>에는 카렐 차페크의 형 요제프의 개성 있는 일러스트가 실렸다. 정원 가꾸기 책도 쏜살문고에서 나왔던데 펜연필독약에서 나온 판본(요제프 차페크 그림)과 뭐가 다른가 봤더니만, 이슈가 있었네.




<미궁>
추리/미스터리로 알고 봤는데 현학적 문체에 기묘한 스토리 전개로 내 머릿속이 미궁이 되어 버렸다. <미궁>은 (장르적 의미의) 미스터리가 아니다. 작가 나카무라 후미노리는 이쿠타가와상 수상자라고 하는데 <편의점 인간>을 읽었을 때의 실수를 또 하고 말았군. 메시지는 둘째치고, 문체 때문에 난 이 책 적응 불가... 그만큼 작가의 지문은 확실한 셈이다.




<블랙 쇼맨과 환상의 여자>
이 작품에 알라딘 별 두 개는 — 별 반 개가 안 되니 어쩔 수 없다 — 좀 미안한 감이 있는데 세 개는 줄 수 없었다.

<블랙 쇼맨과 이름 없는 마을의 살인>으로 새로운 레귤러 캐릭터로 자리한 블랙 쇼맨. 갈릴레오 유가와는 어떻게 된 건지 모르겠고, 가가도 가버리고 (슈헤이 시리즈를 만들어서 슈헤이+가가 조합은 무리인가), 본격까지는 아니어도 블랙 쇼맨을 메인으로 한 탐정물일까 내심 기대했는데,

히가시노 게이고 특유의 ‘칵테일 미담 릴레이‘였다. 개인적 아쉬움과 약간의 심통이 섞인 별 두 개 — 정확히는 별 두 개 반, 딱 ‘중간‘ — 이다. 몸풀기는 끝났다. 게이고옹, 다음번엔 블랙 쇼맨의 개성을 살린, 한바탕 쇼타임을 기대해 봐도 되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