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칼 폴라니를 알고 있었던 건 아니다. 사회적경제 관련하여 보다가 KPIA를 통해 알게 되었는데 (나에게만) 생경한 경제학자와 관련한 협동조합이 한국에 있다니 신기하기도. 그나마 아는 경제학자라곤 케인스와 프리드먼(그리고 마르크스) 정도인데 사실 이름이나 알 뿐 사상에 대해서, 아니 이 영역 자체에 무지렁이인 나는 ‘경제'라는 것도 나와는 먼 이야기 같다고나 할까. 그래도 이제라도 관심을 가져볼까 싶던 차, 당초 잡혔던 일이 어그러지는 통에 지난 달 칼 폴라니 북 토크에 갈 수 있었다. 합스부르크 딜레마, 악마의 맷돌, 기독교 사회주의, 자유주의적 유토피아를 키워드로 다루었는데  얕게나마 머리에 있는 내용을 총동원, 되새김을 위해 간략하게 정리해 본다. 



폴라니는 시장을 혐오한 것이 아니라 경제 원리로써 시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혐오했다. 시장이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이윤이 아닌 쓸모를 위한 생산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자신의 결정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자유의 장이어야 한다는 것이 폴라니의 주장이다. 자기조정적 시장은 허구적 유토피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시장경제 외에도 3개 이상의 경제 패턴이 존재한다고 생각했고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결합도 가능하다고 여겼다. 산업자본주의 사회 이전, 고대 그리스나 아프리카 다호메이 왕국의 체제가 경제적 합리성에 더 부합한다고 보았고 여기에서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경제 질서를 찾고자 했다. 

 

노동, 토지, 화폐가 상품화되고 자본이 권력이 되어버린 19세기 이후의 자기조정적 시장에서는 필연적으로 이중운동(Double Movement)이 나타나게 된다. 사회 전체가 시장의 자기조정에 맞춰 재구성되는 한편, 사회가 자기 방어적인 대항 운동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국가에 관해서도 이러한 견해를 엿볼 수 있는데, <거대한 전환>에 따르면 국가는 시장을 사회에서 분리, 자기조정적 시장질서로의 재편을 허용하면서도 제도를 통해 사회의 자기보호 운동을 받아들이기도 한다. 폴라니는 단 한 사람이라도 개인의 비참함을 그 자신이 떠안고 가야 하는 사회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았으며 사회가 경제를 위해 존재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제2 인터내셔널을 통해 마르크스주의를 접한 폴라니는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했지만, 초기 마르크스 사상에 흠뻑 빠졌고 이에 기반한 기독교 사회주의를 바탕으로 지역주의적 대안을 추구하였다. 너와 나의 좋은 삶이라는 관점으로 개인을 경제적인 인간관(Homo Economicus)으로 보지 않았다. 개인과 공동체는 대립적인 관계가 아닌 상보적인 관계이며 모든 인간은 구원받아 마땅한 영혼을 가진 존재라고 보았다. 따라서 한 개인을 움직이는 것은 그 영혼을 움직이는 것이며 이는 사회제도나 정치체제가 아닌 도덕적 원리의 고양으로 이뤄진다고 믿었다. 



폴라니의 삶은 찌질함의 연속이었다고 홍기빈 박사는 반 농담으로 말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신념을 꿋꿋이 지켜나간 한 인간으로서 그의 '왼편의 삶'은 가치가 있다고 하니 기회가 될 때 읽어봐야겠다. 쉽진 않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