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시에르의 '모더니티 재고 Modernity Revisited'를

    ① 아방가르드와 키치를 통해 살펴보는 근대의 동시대성

    ② 파도의 등가 운동 원리로 본 시간과 행위의 위계에서 미학적 평등 원리 

두가지 측면에서 정리.



근대의 동시대성 탐구

랑시에르에 따르면 우리는 아직 18세기 말에 시작된 예술의 미학적 체제의 자장 안에 있다. Modern TImes는 근대이면서 현대이다. 예술의 종별 차이 — 모더니즘, 포스트 모더니즘, 컨템포러리 — 역시 일면적 펼침에 지나지 않는다. 랑시에르는 헤겔과 그린버그의 모더니티론 — 단선적 시간성, 동시대성 시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고 모더니티의 비동시대성, 여전히 완수되지 않았고 자신의 잠재력을 소진하지 않은 근대의 ‘미적 혁명’에 관해 피력한다.

 

클레멘트 그린버그는 근대 사회에서 해겔식의 예술의 종언에 다다르는 지점이야말로 예술의 미래가 시작되는 지점이라고 보았다. 고대 그리스 예술가들이 알렉산드리아리즘과 헬레니즘으로 빠져든 것처럼 예술에 대한 도취로 모더니즘적 아방가르드가, 공산품을 제공해주는 자본주의 사회 발전에서 산업적 성취로 키치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모더니즘은 곧 아방가르드를 의미하고 이는 키치와 대립한다. 아방가르드가 전위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그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없기 때문이다. 아방가르드는 자본주의적 데카당스의 가속화로 점점 인민의 삶에서 멀어지고, 모방하는 사실을 모방하는 데 매달리게 된다. 모더니즘의 관점에서 예술은 상품문화 형태로부터 분리되고, 각각의 예술이 제 고유의 매체에 몰두한다. 산업화의 끔찍한 결과물로 생겨난 키치문화가 이제 예술 자체를 위협하게 된 것이다.


이에 대해 랑시에르는 "예술은 저 혼자로 존재하지 않으며 예술 혁명이 그저 예술 실천에서 일어나는 혁명일 수 만은 없다"고 이야기한다. 모더니티는 수평선 위에서 과거와 현재의 단절, 분리와 촉발이 아니라, 시간성의 얽힘과 경계 사이의 복잡한 관계 집합을 수반한다. 미학적 혁명은 감각적인 것의 나눔 즉, 시간의 서사를 파괴하는 것이다. 미학이 철학이나 예술은 아니지만, 예술 없이 미학을 논할 수 없다. 미학은 감각을 해석하는 의미 사이의 불일치를 통해 작동하고 사유에 대한 관념, 해석 방법, 사회관, 역사관에 착수하는 지각과 담론의 출발점이 된다.


아방가르드는 군대의 선봉에 서는 첨병이 아니다. 그것은 승리를 구가하는 상품 문화 군대에 저항하는 최후의 부대도 아니다. 아방가르드는 근대(Modern TImes)가 자기 자신에 대해 갖는 차이에 위치한다. (82) 



보리스 그로이스는 그린버그가 아방가르드와 키치를 구별하는 것은 다른 두 가지의 예술 영역이나 종류를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에 대한 두 가지 다른 태도라고 이해한다. 예술작품에 관해 기술과 생산자적 태도를 보이는 것이 아방가르드이며, 효과와 소비자적 태도를 띠는 것이 키치라는 것이다. 오늘날 행위의 위계 보다 모두 일하고 모두 여가를 즐기는 구조에서 현대인은 아방가르드와 키치를 오갈 수밖에 없는 미학적 감수성을 갖게 된다.





파도의 등가 운동과 미학적 평등 원리

랑시에르는 예술에서의 자유로운 운동에 주목한다. 이는 시작된 적도, 끝이나 정지도 없는 삶의 리듬으로 예술가가 자유로이 결정하는 것도 아니요 선택과 의지의 대상도 아닌, 보편적 삶의 리듬에 가까운 운동이다. 이사도라 덩컨은 “모든 운동은 정지 상태에 있을 때조차 풍요의 상징을 지니거니와 다른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소유하고 있다”고 했다. 랑시에르는 이를 차용하여 다른 운동을 발생시키는 연속운동과 자유로운 운동을 개념화한다. 이는 폭풍우 속 파도와 같은 형상으로 운동과 정지, 활동과 비활동의 등가를 의미한다. 


역사적 합리성에 기인한 새로운 서사는 이제 같은 세계에서 시간성의 위계를 만든다. 이 시간성의 위계로 여가와 휴식이라는 비활동의 위계가 발생한다. 여가는 노동에서 벗어난 자유시간이다. 자유로운 인간은 능동적으로 행위하고 행위의 즐거움을 안다. 반면 휴식은 일과 일 사이 신체의 중지이다. 필요 충족 수단과 필연에 얽매여 있으며 기계적일 수밖에 없다. 이렇게 비활동의 위계는 행위의 위계를 만들어 낸다. 행위의 위계로 생겨난 기계적인 인간과 자유로운 인간은 예술이 근대 사회에서 종언을 고하는 시점에 이르러 제 고유의 성질에 몰두하면서 산업적 성취와 예술적 도취라는 양상을 띠게 된다. 파도의 자유로운 운동은 인류의 두 계급을, 행위의 위계를 기각하는 모습을 상징한다. 이는 청년 마르크스가 완수하고자 했던 이념으로 행위가 자신의 시간성에서 그리고 저 자신이 추구하던 목적에서 분리 — 탈접속 — 하여 기계적 인간이 자유로운 인간이 되는 삶의 형태이다. 따라서 노동은 생계를 꾸려야 하는 단순한 필요가 아닌, 인간 활동의 총칭이 된다. 


랑시에르는 청년 마르크스의 ‘정치 혁명’과 ‘인간 혁명’이 포이어바흐와 칸트는 물론 실러의 ‘미적 상태’를 차용했다고 주장한다. 이 미적 상태는 순수 중단이며 능동성과 필연성이 평형이 되는 등가 상태이다. 형식 그 자체로 체험되는 순간으로 반드시 ‘미적 사유’를 거쳐야만 한다. 형식과 감각의 위계적 분리를 단절하고 상상과 오성 사이를 자유롭게 유희하는 실러의 미적 사유는 통찰력과 신념에 도달할 수 있는 유일하고 필연적인 조건이다. 혁명은 지각된 그리고 감각적인 세계와 관련된다. 혁명은 매일의 행동, 그리고 존재가 매일 서로 관계 맺는 방식과 연관된다. 파도의 등가 운동 원리처럼 행위의 수단과 목적이 하나의 동일한 현실이 되는 것이다. 


18세기 말 이래 예술은 서구사회에 존재했던 역사적 짜임 historical configuration이다. 마르크스의 분석에는 예술의 자리가 없다. 하지만 마르크스주의 예술가들은 현재의 지체 lateness에서 추출한 예견의 힘으로 미래를 새롭게 직조한다. 이는 새로운 시인의 과제이며, 마르크스가 아방가르드 이념과 어렵지 않게 연관되는 사상가라고 볼 수 있다. 청년 마르크스의 혁명 이념은 감각적 사유와 평등을 분업의 폐지 — 행위의 위계 — 뿐 아니라 활동의 목적과 수단을 가르는 분리 자체 — 시간의 위계 — 의 폐지를 연결한 것이라고 랑시에르는 누차 강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