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벌레의 복수 시공주니어 문고 1단계 63
이상권 지음, 김유대 그림 / 시공주니어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애벌레 한 마리.

어른 엄지손가락보다 굵은, 난생 처음 보는 크기의 애벌레.

선구와 시우를 향해


"너 이자식, 감히 나를 건드려

 

하며 날선 목소리를 내는 애벌레 한마리.

 

 

 

 

시우네 수탉과 한판승을 벌이기 위해 시우네 집을 찾은 선구는 잘된 일이라며

애벌레를 닭장과 오리무리 사이를 향해 휙~ 던진다.

서로 잡아먹겠다고 해야 할 판에


걸음아 날 살려라.

 

하고 모두들 줄행랑을 치고 마는 게 아니겠는가.

 

 

 

 

그 날 부터 선구와 시우는 애벌레 소통 작전에 들어가고

밤마다 같은 꿈을 꾸며 애벌레에 대한 두려움을 키워간다.

아무도 믿지 못하는 애벌레의 출현과

인간을 보고도

자기보다 큰 동물을 보고도 두려워하지 않는 애벌레의 날선 기상

애벌레가 나타나지 않는 며칠.

선구와 시우는 언제 어디서 나타날지 몰라 걱정이 끊이지 않는 어느 날 밤.

마치 함박눈이 내리는 것처럼 밤나비들이 마당에서 축제를 벌인다.


수컷이 암컴을 향한 춤은 선구와 시우, 길똥이와 닭, 오리들에게

한밤의 축제로 초대하는 초대장이 되어준다.

 

 

 

사람을 향해, 동물을 향해 날을 세우며 겁없이 달려든 매미나방애벌레.

그의 날섬은 자신의 몸을 지키기 위한 처절함이고

알에서 깨어나 밤나비가 되기까지 스스로 몸을 지켜내야만 어른이 되어

종족을 번식할 수 잇다는.

존재 이유를 위한 투쟁이었던 것이다.


선구와 시우의 모습에서 우리 아이들의 짖궂음과

작은 동물의 생명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 행동을 그대로 보여준다.

애벌레가 번데기를 만들기 위해 은신처로 마련한 곳이 옷장 아래 구석진 곳이다.

사람들 뿐 아니라 누구의 손길도 닿지 않은 곳을 찾기 위해 얼마나 헤매었을까.

점점 동물들의 서식지를 잃어가고 있는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어 마음이 아프다.


재작년 제주 여행을 하면서 산책 중 만난 나뭇잎 한장.

예쁘게 돌돌 말아, 누가 이렇게 예쁘게? 어떻게 나뭇잎을 이렇게? 하는

호기심으로 나뭇잎 한 장을 뜯어 풀었다.

나뭇잎 속에는 노란 알이 알알이 맺혀 고이 담겨 있었다.

숲의 주인인 누군가가 자기 새끼를 낳아 고이 담아둔 것인데

나의 호기심으로, 아이와 함께 보고자 하는 욕심으로

천적으로부터 보호된 새끼를 그대로 노출시켰으니 …


애벌레의 치열한 결투를 보며

그 때의 내 행동이 얼마나 이기적이었는지 새삼 느끼게 되었따.

한밤의 축제에 초대된 나는, 미안함으로 축제를 물들인다.

 

 

 

책을 펼치면, 매미나방애벌레의 편지가 도착되어 있다.

매미나방애벌레의 소개와 자신만의 특징을 전하고,

왜? 복수를 해야만 했는지 이유를 알려주겠노라고 발표한다.


우리 모두 생김새가 다른 것처럼 서로의 생각이 다를 뿐.

'어. 애벌레는 이런 생각을 하는구나!'

이상권 선생님은 애벌레를 통해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매미나방애벌레의 편지로 대신 전하고자 하셨다.  
 


비니들의 애벌레 작품을 소개합니다.

큰비니 3살. 엄마와 함께 하는 오후 놀이에서 했던 모습. 오랜만에 꺼내 봅니다.

 

집에서 식사때마다 나오는 달걀껍질을 모아서 애벌레에게 예쁜 옷을 입혀 주세요.

                1. 달걀 껍질속의 하얀 막을 떼어내주세요.

                2. 아이가 원하는 색의 물감을 풀어서 그 속에 달걀 껍질을 넣어서 색을 입혀 주세요.

                 3. 하루 정도 물들인 후, 말리고, 손으로 톡톡 껍질을 부셔주세요.

 

 

 

                        4. 도화지에 애벌레의 모습을 그려 주세요.

                        5. 목공용풀을 입힌 뒤 원하는 색의 달걀 껍질을 붙여주세요.

                        솔솔 부어주면서 붙이고 털어주는 방법도 있어요.

                        6. 다 붙인 후, 접착이 잘 될수 있도록 꼭꼭 눌러 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