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활동
이시우 지음 / 황금가지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가 죽인 거야?"

 

마음의 준비도 하지 않은 나에게 다가온 첫 문장. 액션 스릴러 소설임을 알고 읽고자 마음먹었지만, 책장을 열자마자 시작된 문장이 나의 숨을 멎게 만든다. 마치 독자에게 질문하듯 던지는 말에는 무게감은 전혀 느껴지지 않는, 별일 아닌 듯 물어오는 김세연의 물음에서 사건은 이미 일어났음을 알린다.

 

sull1.JPG

 

평상시와 똑같은 등교길, 골목길에 버려진 여학생의 시체를 본 이영과 김세연, 이영은 최초 목격자로 얽히고 싶지 않다. 이름 대신 불리는 '부모를 죽인 패륜아' 란 꼬리표만으로도 충분하다. 더이상은 경찰과 그 어떤 일로도 부딪히고 싶지 않다. 공부 잘하고 예쁜, 누구도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김세연이 모든 걸 책임져 주길 바라는 것이 이영의 진심이다.

여학생의 시체를 목격한 지 네 시간이 지나 이영에게는 여학생을 죽인 살인자라는 또 하나의 꼬리표가 붙고, 그의 신상은 SNS에 낱낱이 공개되고 만다. 도망갈 곳도 더이상 피할 곳도 없다. 다만 그 자리에 함께 있던 김세연만이 유일한 언덕이 된다. 과연 김세연은 이영의 언덕이 되어 줄까.

 

 

sull2.JPG

 

스스로 혼자가 된 김세연과 타인에 의해 혼자가 된 이영, 앞에서 1등과 뒤에서 1등인 두 사람이 우연한 시간에 같은 공간에 있게 됨으로 시작된 사건 그리고 동지가 된 이야기가 펼쳐지는 『과외활동』.

여학생의 시체는 사고로 일어난 살인 사건이 아닌, 누군가가 계획했고, 자신들의 능력과 재미를 위해 저질러진 행위이다. 이영의 과거부터 현재의 행동까지 파악한 그들은 그의 약점을 잡아 그들이 몸담고 있는 동호회의 회원으로 영입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단순히 CCTV로 살인 현장의 목격자를 신고하는 것으로만 알고 있었던 이영에게 그들의 치밀함은, 이영을 점점 가두고 어떠한 선택도 무의미함을 깨닫게 한다.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머릿속 의문이 좀처럼 나를 놓아주지 않는다. 지금이라도 당장 이 미친 놈들로부터 도망치고 싶은 나와 달리 김세연은 더 파고들어 볼 생각인 것 같다. 무엇 때문에? 나를 도와주려고? 이건 명백하게 나를 도와주는 것 맞지? 그렇다면 김세연은 왜 나를 도와주는 걸까? 할 수 있으니까? 재미로?

『과외활동』 80쪽.

 

세연은 중학교 때 세계 해커 대회에서 우승한 전적과 보안 전문 업체에서 스카우트하려고 했던, 나름 유명하고 능력있는 영재이다. 세연은 살인 현장의 목격자인 이영에게 CCTV 화면 캡쳐로 살인자 누명을 씌우며 접근해 오는 그들의 경로를 쫓아가며 이영에게 드리워진 그늘이 무엇인지 파헤치기 시작한다. 그들이 설치한 CCTV를 제어하고, 그들의 그와 같은 행위를 하는 루트를 찾아내는데 성공한다. 세연이 깊게 침투하고, 이영이 세연의 명령을 받아 상황을 모면할수록 동호회 회원들 역시 그들을 잡기 위해 함정을 파기 시작한다.

 

 

sull3.JPG

 

이름없는 동호회, 그들은 약점을 가진 미약한 이들을 찾아내 약점을 미끼로 자신들의 하수인 역할을 맡긴다. 그들에게 길들여지면 불법적인 행위까지 서슴치 않고 저지르는 불법동호회의 정식 회원이 되고, 명령만으로 이루어지는 계획적이고 밝혀지지 않는 살인을 저지르는 비도덕적인 인간으로 키워지게 된다. 그것이 그들의 최종목표일까.

고등학생 이영을 상대로 하는 불법동호회. 그들은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다양한 직업군들이 모여 자신들기 가진 약점에서 벗어나고자 또 다른 유형의 범죄를 저지르고, 또 다른 이들의 약점을 이용해 자신들이 불법 행위에 미끼로 사용해가는 약행을 저지른다. 그러나 그들이 사회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진실 속에 감추고자 하는 약점은 대체 무엇이기에 잃을 것을 손에 쥐고도 불법 동호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 동호회라는 모임에 감춰진 비밀까지는 밝혀지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나와 김세연 군은 양 떼들의 세상에 홀로 버려진 늑대들이니깐! 어쩌면 이 세상에 오직 둘밖에 없는! 그 누구도 우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우리 역시 타인들을 이해하기 힘들지. 왜냐하면 저들의 본성은 ……."

선생의 석궁으로 나를 찌르기라도 할 듯 팔을 뻗어 나를 가리킨다.

"풀을 뜯어 먹으며 서로서로 어울려 사는 데에 있지. 하지만 우리의 본질은 …… 양 떼를 두려움에 떨게 만들고 그 공포를 즐기며 그들의 고기를 뜯어 먹는데 있어. 김세연 군의 부모도 어느 순간부터 김세연 군을 이해하지 못하고 정체 모를 괴물을 보듯 대했지?"

학교 아이들 모두가 김세연을 두려워한다. 저 남자의 말대로 모두가 다 본능적으로 김세연의 정체를 안 걸까?

『과외활동』 237쪽.

 

너무나 뛰어난 김세연, 누구도 다가서기 쉬운 상대가 아닌 사람이 된 김세연, 외롭지만 외롭다고 말할 기회조차 없었던 김세연 그리고 화재 현장에서 아빠의 도움으로 생명을 구한 이영, 혼자 살아남게 되어 부모를 죽인 자가 된 이영, 그립지만 외롭지만 혼자 꾹꾹 누르며 살아가야 했던 이영. 둘은 너무나 다른 환경 속에서 살아가지만 혼자 라는 것과 누구도 곁에 다가오지 않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보이는 것만이 다가 아닌 세상 그러나 보이는 것이 전부인 것처럼 믿게 만드는, 현실과는 다른 세상이 펼쳐지고 있는 SNS 세상의 단면을 보여주는 듯한 이야기 『과외활동』 은 책장을 여는 순간부터 빠져들어 단숨에 읽히는 청소년 액션 스릴러 소설이다. 마치 내가 그들과 함께 있는 듯한 착각이 들 정도로 사실적으로 표현된 묘사가 우리 몸의 여러 감각들을 동시에 깨우고, 이영의 고통이 고스란히 전해져오는 것만 같아 몸이 경직되어 옴을 느끼게 한다. 어둠 속에서 빛을 찾아 나오기까지의 이영의 숨가쁜 추격과 마지막 발악까지, 초조함과 불안함으로 함께 하였다.

 

"난 그 때…… 집에 불이 난 날 이후로 내가 죽었다고 생각했어. 살아서 먹고, 숨 쉬고, 잠을 잤지만 살아 있는 것처럼 느껴졌던 날이 하루도 없었어. 매일매일이 죽는 날이 오기 전까지 참고 견뎌내야만 하는 순간처럼만 느껴졌어. 그런데 그때 골목에서 너를 만나고 …… 다시는 되돌리기 싫은 기억이지만 너랑 같이……

우리가 …… 우리가 같이 겪고 헤쳐나갔던 모든 순간에……

처음으로 느꼈어. 나는 살아 있구나. 이게 사는 거구나……

라는 걸."

『과외활동』 284~285쪽.

 

호기심으로 읽기 시작한 『과외활동』 은 상상이상이다. 살인 현장의 첫 목격자라는 사건의 시작부터 누군가의 협박 그리고 천재 소녀의 전문 해킹과 불법 단체들의 실체까지, 그 동안 읽어왔던 책들과는 소재도 풀어나가는 과정도 사뭇 달라 긴장의 끈을 놓치지 못한 채 단숨에 읽어낸 소설이다. 무서우면서도 화가 나고, 화가 나면서도 안심이 되는, 그러면서도 주변을 살펴보게 되는 참 묘한 매력을 가진 소설이다. 정말 오랜만에 책을 통해 색다른 흥분을 느껴본다.

 

 

 

서명4.p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