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 셋 달린 소 - 서석도서관 사서 추천 도서,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책고래 클래식 12
김명희 지음, 안준석 그림 / 책고래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전래이야기는 다양한 감정을 담아내는 꽤나 오래 묵은, 묵직한 그릇 같다. 담담함 속에 숨겨진 감정들이 우리의 가슴 한 켠에 숨겨진 여린 살을 톡하고 건들면기도 하고, 어리숙한 말투와 허탕치는 꾀쟁이의 모습에 통쾌함을 느끼기도 한다. 짧은 글을 통해서 우리는 충분히 즐겁고, 아리고 슬픈, 가만히 흘러내리는 눈물로 이야기에 대한 감사평을 대신하는 것, 그것이 전래이야기가 가진 매력이 아닐까 싶다.

가을이 시작되는 지금, 나의 마음에 콕 박힌 가시 하나. 티는 잘 나지 않지만 움직일 때마다 콕!콕! 자신의 존재을 알리고자 하는 가시 하나. 가시 하나처럼 내 맘에 박힌 그림책 한 권이 있다. 어떠한 말보다 가만히 들여다보고만 싶은 그림책 한 권, 김명희 작가님의 글 『뿔 셋 달린 소』 이다.

 

cow1.JPG

 

옛날, 우도봉 아래 김부자 집에 뿔 셋 달린 소가 태어났다. 삶의 밑천이 되고 농부의 동반자가 되어줄 소의 뿔이 셋, 이는 뿔 둘 달린 소에게는 놀림의 대상이 되고, 소 자신에게는 나도 그들과 같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부지런함으로 무장을 한다. 그럼 김부자에게 뿔 셋 달린 소는 어떤 존재였을까.

 

 

cow2.JPG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하는 - 힘든 일을 시켜도 많은 양의 일을 시켜도 싫다는 몸짓 한 번 내지 않는 - 뿔 셋 달린 소는 일을 시키기에 너무나 좋은 일꾼일 뿐이다. 여느 소와 다른 신체적 조건을 가졌기에 무엇이든 수용해야 할 처지라는 아주 단순하고도 저급한 생각으로 일감을 몰아주기에 이른다.

 

cow3.JPG

 

김부자는, 열심히 일하는 그에게 "뿔이 셋이 달리니 기운도 세구나."하며 그의 묵묵함과 부지런함을 남들보다 하나 더 달린 뿔에 공을 주고는, 보란듯이 일을 시키고 또 시킨다. 김부자네 일로도 차고 넘치는데, 동생네 일까지 도맡아 시키니, 어느 소가 버텨낼 수 있을까.

늦은 시간까지 동생네 일을 보고, 쌀을 가득 심고 김부자네로 힘겨운 걸음을 내딛는다. 배도 고프고 허리는 휠 대로 휘어져 여물통에 담겨 있을 여물만을 생각하며 김부자네로 간다.

모두 잠들었을 밤, 아무리 소리를 치고 울어도 열리지 않는 대문. 소는 더이상 울 힘도 쌀을 받치고 서 있을 기운도 남아 있지 않아 그래도 푹 쓰러져 다시는 일어서지 못한다.

여자로 태어났다는 단 하나의 이유로, 친정에서는 동생들 뒷바라지하며 살림 밑천이 되어야 했던, 한 남자를 만나 시댁에 온 힘을 다해 살아야 했던, 자식에게 좋은 건 모두 양보하며 살아왔던 우리네 어머니의 휘어진 허리가 겹쳐지면서 눈물이 차오른다. 휘어진 허리로 김부자네로 향하는 소에게 여물과 집은 얼마나 절실했고 간절했을까. 곧 열릴 문을 기대하며 소리 높여 우는 소의 울음소리가 귓가에 맴도는 것만 같다.

 

cow4.JPG

 

'선한 끝은 있다'라는 말이 있듯이, 숨진 소의 등에 올려진 쌀 가마니에서 비구미들이 한마리 두마리 기어나오더니 소의 몸을 모두 덮을 만큼 많아진다. 그 비구미들은 김부자네 집으로 들어가 창고에 가득 쌓인 곡식부터 집까지 모두 해치우고는, 고된 삶을 살아온 소를 위로하듯 온 몸을 감싸안는다. 가는 순간까지 너무나 외로웠을 그에게 비구미들의 복수는 삶을 정리하는 소에게 아주 조금의 위로는 되었을까.

뿔 셋 달린 소의 삶이 안타까운 이들이 그의 죽음을 위로하며 쌓아올린 돌들이 쌓이고 쌓여 산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뿔 셋 달린 소』이다.

 

cow5.JPG

 

자신의 삶에 최선을 다한, 남들과 다르게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놀림과 미움이 대상이 되어야만 했던 뿔 셋 달린 소. 그의 묵묵함과 버티는 나아지리라는 희망이 오늘따라 참 원망스럽기 그지 없다.

 

 

 

서명4.p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