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관계 1
안도현 지음, 이혜리 그림 / 계수나무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너랑 걔랑 어떤 사이야? 사귀는 거 아니야?"
하는 주위의 의심을 받으면서도 우리로 얽히는 것을 겁내한 나와 걔는 친구라는 관계로 단정지으며, 그 이상 그 이하로 관계를 짓는 것은 서로를 불편하게 만든다는 초라한 핑계라는 것을 대면서 극구 부인할 때가 있었어요. 그러길 세 해를 넘기고 나와 걔는 주위의 의심을 현실로 전환시키면서 누가 보아도 연인임을 알 수 있는 우리가 되어가길 바라면서 사랑의 고리를 채웠지요.
'나와 너'에서 '우리'라는 관계를 맺으며 어느 새 '우리 마누라는, 우리 신랑은'하는 부부가 되었고, 두 돌을 바라보는 아이에게는 '엄마 아빠'로 불리우며 가족이라는 관계를 맺으며 오늘을 살아가고 있어요.

나라는 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 부모에게는 고집 센 셋째딸로, 형제에게는 제 할 일 똑 부러지게 하는 동생으로 누나로, 신랑에게는 어설픈 완벽주의로 스스로를 힘들게 하는 마누라로 아이에게는 항상 곁에 있어주는 든든한 엄마라는 이름표를 달고 이 믿음이 깨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깨어지더라도 곁에 있어주는, 우리의 관계를 의심치 않으며 살아가고 있음을 나는 압니다.
그들과 나의 연결 고리 속에는 뿌리치고 싶어도 그럴 수 없는 혈연 관계가 적용되어 있지만, 그 보다 더한 것은 한 번 맺어진 관계는 신뢰와 그 동안의 노력의 결과라는 믿음이 해를 더해 갈수록 더 큰 자리를 차지해 가고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톡"
하는 소리와 함께 시작되는 동화 '관계'
갈참나무에서 땅으로 떨어져 버린 도토리 한 알.
외롭고 캄캄한 땅 위의 공포도 잠깐, 봄 여름 동안 함께 지냈던 나뭇잎들이 도토리의 곁을 지켜 주지요.
나뭇가지에서는 비바람을, 땅 위에서는 인간과 쥐의 먹이로부터 몸을 가려주고, 숨어 사는 것이 갑갑하여 모든 것을 포기하려 할 때 도토리가 있어야만 나뭇잎도 존재할 수 있다는, 도토리와 나뭇잎이 또다시 만나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이 나뭇잎 모두의 꿈이라고 견뎌내야 하는 존재의 이유를 설명해 주지요.
이 말은 도토리 자신을 아끼고 사랑할 수 있게 하는 용기의 메시지가 되어 도토리를 추위와 고통 속에서도 살아가게 해 주는 힘이 되어 준답니다.

나뭇잎들은 도토리에게 존재하는 갈참나무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며 세상 속에 한 그루의 나무로, 동물들에게는 겨우내 먹이로 키워낸답니다. 도토리로 하여금 새로운 생명을 꿈꾸고, 도토리는 나뭇잎으로 하여금 갈참나무가 되어 새로운 생명을 키워나가요.
이것이 바로 진정한 관계이며, 서로가 존재하는 이유라고 하겠지요.

작은 도토리의 가슴 속에,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그 존재만은 분명한 갈참나무 한 그루.
우리는 도토리 한 알에서 자라나는 갈참나무의 존재를 믿듯, 우리들 가슴 속에 잠재되어 있는 희망과 새로운 용기를 믿고 그것을 세상에 펼치기까지 닥쳐올 어려움을 겪어내야만 합니다.
도토리가 잘 해 나가고 있음을 우리의 식탁을 사계절 내내 장식해 주고, 시골 뒷산에는 여전히 다람쥐들이 오독오독 씹으며 끼니를 해결하는 맑은 소리로 알 수 있잖아요.
이제 조금은 덜 두렵지 않나요?
보이지 않는 희망의 길이 외롭게 느껴지지는 않을 테니까요.

'연어'라는 동화를 통해 안도현 시인의 문체와 사고에 매력을 느낀 저에게 '관계'는 또 한번의 행복함을 안겨주기에 너무나 충분한 동화였어요.
우리 인간과 멀리 떨어지지 않은 생명들에게서 인간들이 배워야 하는, 누구나 알고 있기에 쉽게 지나쳐 버리는 의미를 전달하지요.
나뭇잎과 도토리.
엄마와 아이.
아이의 가슴 속에서 날마다 자라고 있을 새싹이 세상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나 나뭇잎과 열매를 키워낼 수 있도록 비바람을 막아주고, 행복함으로 껴안을 수 있는 따스한 가슴이 될 수 있도록 오늘도 열심히 내 몸이 먼저가 아닌, 세상에 나올 모두의 꿈을 위해 내 몸을 낮추렵니다. 도토리와 나뭇잎이 서로 관계를 맺어 한 그루의 갈참나무를 키워내었듯이 '나와 너'가 아닌 '우리'의 관계로,세상에 아름다운 미소 하나 떨구고 가는 내가 되고픈 바람이 욕심처럼 저를 찾아오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