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중그네 ㅣ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마유미짱~~~ 여기 주사 준비~~~"
어김없이, 주사가 나온다. 크흑, 알고 왔지만 무턱대고 맞는 주사는 아프단 말야. 그래도 일단 맞았다.
"저요, 요즘요, 쉬어도 쉬는 거 같지가 않아요. 자꾸 이런 저런 생각이 너무 많아요. 그래서 못 쉬겠어요. 그렇다고 일만 하기엔 너무 피곤하고 힘들어요."
주사를 맞자마자 소매를 내리면서, 나는 급하게 내 방문 목적을 꺼내 놓는다. 하지만 책상 맞은 편의 이라부 선생님은 배실배실 웃는 폼이 뭔가 딴 생각을 하는 눈치다.
"그럼 그냥 쉬어. 생각하지 말고."
"그게 안 되니까 찾아왔죠~ 쉬고 있으면 불안해서 생각이 많다니까요?"
"그럼 그냥 일해. 쉬지 말고..."
이라부 선생님은 계속 배실배실 웃고 있다. 내가 남들의 이야기만 듣고 쓸데 없이 이곳에 찾아온 것은 아닌가 하는 후회가 들었다. '아냐, 그래도 책에서는 덕분에 많은 심각한 병을 앓던 사람들이 다 완쾌됐잖아. 뭔가 특별한 방법을 주실 지도 몰라...'
"안 쉬면 힘들어요. 계속 일 못 해요."
"잘 됐네. 완전히 뻗어 버리면 더 이상 아무 생각도 못 할테니...! 그럼 그때는 그냥 쉴 수 있잖아?"
<공중그네>를 읽고 해 본 상상이다. 만약 내가 이라부 선생님의 병원에 찾아가서 지금 내 상태를 이야기한다면 뭐라고 이야기해 줄까?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까? 하고 궁금했기 때문이다. 또 한편으로는 이런 의사 선생님이 정말 계시다면 어디에 계시든 꼭 찾아가서 진료를 받아보고 싶기 때문이다. 주변에 의사다운 의사가 없다, 뭐 이런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이라부 선생님처럼 '마음까지' 고쳐줄 수 있는 의사 선생님을 만나고 싶은 것은, 모든 '아픈' 사람들의 꿈일 것이다. 내가 늘 아플 때면 하는 생각이지만, 몸과 마음은 따로 떨어져 있지 않더라. 그래서 몸이 아프면 마음도 아프고, 마음이 아프면 몸도 아프다는 거지! 그러니 몸도 낫게 하고 맘도 낫게 해 줄 선생님이라면 이 세상의 모든 환자들에게 최적의 의사가 아닐까 싶은데...?
하지만 그 방식은 결코 녹록하지 않다. 아마 이라부 선생님이라면 정말 나에게 뻗어버리라고 주문할 것 같다. 그리고 아예 편히 한 번 쉬어 보라고 말이다. 근데 생각해 보면, 그 방식도 나쁘지 않다. 아니, 좋은 방법이긴 하다. <카르페 디엠!>에서처럼 심하게 다쳐서 입원하게 되면 자신의 인생을 다시 되돌아 보게 되지 않냔 말이다. 그러다보면 병원 침대에서 크게는 인생을 새로 계획할 수도 있고, 작게는 내가 지금 무엇 때문에 이렇게 조급해 하는 지, 불안해 하는 지를 찾아낼 수 있을테지. 그리고 그것은 '자신이 스스로를 치료'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사처럼 제 3자의 힘을 빌리는 것보다 더 효과적일 것은 뻔하다.
이것이 내가 생각한 <공중그네>가 가진 매력이다. '이라부'라는 독특한 캐릭터가 지닌 '독특한 치료 방법'! 단순히 이들이 치료되었다는 것에 감동받는 게 아니라 이라부의 의도 없는-내 눈에는 그렇게 보인다-유도에 따라 그들 스스로 자신을 바꿔가는 방법을 찾아가는 그 과정이 감동적이고 재미난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마치 '우리'가 치료되는 것 같으니까... 이 어둡고 험난하고 힘든 자신만의 현실-누구도 쉽게 치료해 줄 수 없는-에서...
사실 우리가 <공중그네>를 읽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치료받았다'. 요즘은 웃는 걸로 다이어트도 한다고 하고, '웃음'만큼 사람을 건강하게 만드는 것도 없다는데, 이 책의 첫 장을 넘기는 그 순간부터 터져 나오는 웃음보를 감당할 수 없을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