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냐 존재냐 범우사상신서 3
에리히 프롬 지음. 방곤,최혁순 옮김 / 범우사 / 199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에리히 프롬의 사상의 가장 완숙한 경지를 정리한 저서로서, 현대사회와 그 문제점에 대해 탁월한 관점으로 풀어낸 명저이다.

프롬은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간 생존의 양식을 '소유의 양식'과 '존재의 양식'으로 구별하여 고찰하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새로운 인간과 새로운 사회의 가능성에 대해 희망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심리학, 사회학, 정신분석학, 철학, 신학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인간을 관찰 연구하여 인간 존재가 가진 비극적 한계를 구명하고자 한다.

프롬에 의하면 '소유양식'은 현대 산업사회, 특히 고도로 발달한 자본주의 사회에 있어서의 주도적인 존재 양식인데, 이러한 삶의 태도에서 현대사 사회의 모든 해악이 기인된다고 정의한다. 또한 '소유양식'은 주체와 객체를 사물로 환원시켜 버리기 때문에 그 관계는 '살아 있는 관계'가 아니라 '죽은 관계'로 귀착되며, 따라서 사회적으로는 끝없는 생산과 끝없는 소비의 악순환을 초래하는 결과를 보여 준다는 것이 프롬의 관찰이다. 특히 그는 현대의 물질 문명, 소비 지상주의의 와중에서 자신의 존재를 잃어 가고 있는 현대인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프롬에 의하면 현대인은 소비하고 소유함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려 하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소외된 삶의 형태가 나타난다고 한다.

그런 이유로 프롬은 인류가 생존을 계속하며 평화와 안녕을 되찾는 길은 우리의 인간성 구조를 '소유지향'에서 '존재지향', 즉 '존재양식'으로 전환시키는 길밖에 없다고 강조한다. '존재양식'은 어떤 사물이나 추상적인 개념까지도 소유의 대상으로 치환하여 집착하는 태도를 버리고,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모든 관계를 살아있는 관계로 파악하려는 태도임을 여러 인류의 스승들을 예로 들어 명확히 한다.

마지막으로 프롬은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인간 변혁의 조건과 새로운 인간의 특성을 언급하며, 새로운 사회의 실현 가능성을 타진하고 몇 가지 구체적인 방안까지 제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