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 모든 자식들의 원죄에 대한 이야기.
엄마에게 기대며 동시에 밀어낸 우리 자신의 이야기.
아직 늦지 않은 이들에겐 큰 깨달음이 되고, 이미 늦어버린 이들에겐 슬픈 위로가 되는,
이 아픈 이야기. - 이적 (대중음악가, <지문사냥꾼> 저자)
 
   

신간을 읽어본것이 얼마만인지...

얄궂게도 마침 엄마는 시골에 내려갔고, 나는 빈집에 앉아, 엄마가 즐겨보는 그 연속극을 보지도 않은채 틀어두었다. 물을 마실때나 집에 들어올때 항상 못마땅하게 토를 달거나, 타박을 주며 차라리 보지 말라던 그 연속극 소리를 위안삼아 틀어두고는, 한구석에서 얼마전 시작했던 책을 읽다가 앞섶이 다 젖도록 결국 울어버렸다. 

나는 다 큰, 잘난척하는 딸이면서 눈물에 눈앞이 부옇게 되어 글줄이 더이상 읽혀지지 않는데도, 시선을 행간에 고정시킨채로 서럽게 울었다. 마치 엄마가 옆에있는듯 그 연속극 소리가 나를 위로하면서도 한없이 서럽게 만들었다. 세상에 엄마가 필요하지 않은 자식이 어디에 있을까.

이 소설은 그렇게 엄마를 잃어버린 때부터 시작한다.  

자식이 무섭게 자라고 자리를 잡고 또 늙어가는 동안,그 뒤안길에서 엄마는 점점 자식들에게 잊혀지고,... 엄마는 자식들에게나, 늘 집밖으로 내돌던 아버지에게나 언제나 그자리를 지키고있는 존재였는데, 그 자리에 있어 잊혀지는 존재였는데, 그런 엄마가 사라져버렸다. 엄마가 길을 잃었고, 자식들이 엄마를 잃어버렸다.

잊은 것의 댓가는 잃어버리는 것이 되었고,

자식들은 엄마의 부재로 인한 혼란스러움과 후회, 자책을 통해 엄마를 다시 기억해낸다. 자신들을 키워낸 켜켜한 세월을 지켜온 엄마가 생각이 날수록 잃어버린 엄마에 대한 그리움과 후회가 너무도 큰 것은.. 정말로 가혹하게도 우리는 죽는 순간까지 엄마가 필요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너의 그 후회는 곧 나의 후회가 된다.

"엄마를 잃어버린지 일주일째다" 로 시작하는 큰 딸의 이야기는, 나의 이야기라고 하지 않는다. '너의 엄마는 몇해 전부터 내 생일은 따로 챙기지 마라, 했다.' 라고 한다. '오빠가 너를 지명했다'라고 한다. 그 다음장인 큰 오빠의 이야기도 그렇다. 이 [너] 라는 지칭은 더욱 냉정하게 말하는 것처럼 들린다. 그리고 그 자식들의 회상과 슬픔과도 한발짝 떨어진것 처럼 보이지만... 담담하게 너의 이야기를 하는 그 어조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더욱 마음을 아프게 한다. 그리고 이상하게도 그 자식들과 내가 같은 입장에서 듣는것 처럼 생각하게 한다. 나도 너의 엄마의 자식이기 때문일까.

자식들의 잊혀진 유년에는 따뜻하고 억척스러운 엄마가 있었다. 그 엄마가 그 애들을 그렇게 키우기까지 얼마나 많은 일이 있었을까. 나는 엄마를 얼마나 알고있었을까... 소같은 눈을 지닌 엄마는 평생을 부지런했고, 잊혀진채로도 끊임없이 자식을 돌보고, 새끼들을 먹였다. 엄마를 찾으며 기억을 되살릴때마다. 생각하지 않았던 일들이 재구성될때마다 그 뼈아픈 의미들이 자식들에게 오래된 편지처럼 전달된다. 자식들은 엄마가 필요해서 사랑했던걸까. 왜 엄마에 대해 알려고 하지 않았을까. 왜 엄마를 위해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을까. 딸은 제 소설을 맹인들을 위해 점자로도 내는데, 글 읽지 못하는 엄마에게는 그가 딸인지도 모르는 이가 책을 대신 읽어준다.

엄마는 어떻게 엄마가 된것일까. 엄마도 누군가의 자식이었을텐데...

처음엔 배를 내어주고, 피와 살을 떼어내서 낳고, 젖을 물리고, 밥을 먹이고, 입히고, 가르치고, 허리가 휘고, 마음을 졸이고, 눈물을 흘리고, 이를 깨물고, 돈을 벌고, 가슴을 잃고, 엄마가 되었기 때문에 엄마로 살았던 엄마는 참 힘들고 고단했다. 그래도 행복했다고 말한다. 니가 있어서 행복했던 날이 얼마나 많았냐...얘야 너는 그렇게 내게 좋은 기억을 많이 남겨준 사람이었다. 라고 담담히 말한다. 옛날집 마당까지 훓어보고 지난 삶 키워낸것들을, 마음 기댄 사람을, 고모와 막내딸을 돌아보고 옛날집 햇살같이 따뜻한 손길로 마지막 여전히 엄마다운 마지막 당부를 남기지만, 그 고단한 생의 마지막에 이제 그만 나를 놓아달라고... 죽어서도 이집에 묻히는것은 이제 싫다 고 한다.

"잘 있어요...... 난 이제 이 집에서 나갈라요."

서울역에서 엄마가 아버지의 손을 놓쳤을때, 자식들이 엄마를 잃어버린 그 날, 엄마는 그 집에서 나가 비로소 엄마라는 무거운 굴레를 내려놓고 세살짜리 딸로 돌아간다.

아무리 손주라도 내 자식 상하게 하는것은 싫더라는 엄마는 제 자식들을 키워내느라 온몸이 만신창이가 된채 뼈가 드러나도록 움푹 패인 상처를 안고 딸이 되어 엄마의 품에 안긴다. 엄마가 태어났다는 오래된 고향집 마루에서 이제 상처투성이가 되어 돌아온 제 딸을 안은 엄마는 슬픔으로 일그러진 얼굴이 되어 웃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 그 표정은 언젠가 죽은 아이를 낳아 안았던 바로 그 표정이었다.

그들은 조금씩 받아들인다. 골프를 치고 여행을 가고, 자식들을 키우고, 하지만 여전히 엄마를 잃어버린 서울역에서 우두커니 서있는다. 그리고 엄마를 떠올리게 하는 그 피에타 상 앞에서, 세상의 엄마에게 읊조린다.

엄마를 부탁한다고..

에필로그에서 막내딸은 나는 엄마처럼 할 자신이 없다고 말한다. 단 몇시간만 있더라도 엄마가 한 모든일들을, 그걸 해낸 엄마를 아무도 기억해주지 않는 엄마의 일생을 사랑하고 존경한다고 말하고 싶다고 한다. 막내딸은 알고있을 것이다. 이제 그런말을 할 기회는 없다는 것을, 자신 역시 엄마라는 이름으로 숨겨진 이야기들을 담아둔채 묵묵히 자식들을 키워내고 살것이라는 것을...

발개진 눈으로 방문을 열었을때, 그자리에 엄마가 있었다면 이렇게 머리가 아프도록 많이 울지는 않았을 것이다. 

며칠후 엄마가 돌아오면 이번엔 내가 맞이하고 싶다. 이번엔 내가 기다렸노라고...

작가가 말하지 않는가..아직 기회가 있는자.

사랑할수있는 한 사랑하라. 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