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 서평단 알림
책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 인문학 인생역전 프로젝트 5
이권우 지음 / 그린비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고전은 점점 따분한 것이 되어가고, 입시가 아닌 읽기는 점점 도태되어간다. 사회적으로는 점점 실용주의 경제학, 자본주의와 결합한 새로운 흐름이 날마다 새롭게 등장해 그 흐름을 빠르게 더 빠르게 바꾸어간다. 인문학의 뿌리가 흔들리는 것은 사회의 자정능력을 퇴화시키고 사회 전반의 더 큰문제를 야기시킬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저자는 그 세태의 안타까움을 토로한다. 그리고 독자에게 다가가기 위함이었을까 입시에 익숙한 논리로 읽기라는 효용성있는 가치에 대해 풀어놓는다.

책을 읽으면 무엇에 좋은가/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두가지에 대해서 때로는 경험적, 때로는 방법론적으로 풀어놓는것은 자타공인 책읽기의 달인, 책 읽기를 업으로 삼은 사람이 하는 말이니. 저자가 책과 부대끼며 지나온 많은 생각들은 분명 짧게 읽은 사람으로는 얻기 힘든 결과물 일 것이다.. 읽기에 관한 다양하고 많은 인용들도 마찬가지일것이다...

책읽기가 무엇에 필요한지 알면 읽겠다. 혹은 책읽기에 대해 잘 아는 사람에게 설명듣고 싶다, 이제 책 좀 읽어봐야겠다 이런 사람들에게 좋겠다 싶다,

독서에 관한 국내서적이 많지 않으므로 방법론적 접근이 필요한 분들에게도 권한다.

그러나,

이미 읽는 즐거움을 알고 계신분이라면, 혹 독서에 관한 남다른 애정이 있어 그 감회를 나눌 기대를 하신다면 이 책은 적합치 않다고 말씀 드리고 싶다.

죄송하지만 이 책은 읽어나갈수록 독자를 밀어낸다.

그리고 그 전면에, 너무 자주 드러내는 책읽기의 달인, 호모부커스, 책벌레, 읽기가 직업이라는 프라이드는 좀 불쾌할정도로 견고한 성처럼 독자앞에 버티고 서서 내려다보는 듯 하다. 이미 혼자서만 독서라는 거인의 무등을 탄 채로 이야기 하기 때문에 어쩔수 없는 것일까...

지은이 소개, 프롤로그, 에필로그는 책이 선택받기에 부족함이 없도록 지나치게 완벽하다,

주옥같은 인용들, 수려한 편집과 삽입, 그리고 많은 읽기의 방법과 전달하고자 하는 열정,

그러나 그것을 풀어내는 오만하고 어수선한 내용. 뜬금없는 에피소드들,  취향의 강요...

나의 읽기의 정의는, "근본적인 공생과 공유를 위한 의식 확장의 과정" 이다. 그러한 기준에서 봤을때 이 책은 내가 모르는 것을 나에게 가르쳤을수도 있지만, 공감에는 실패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