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분 후의 삶
권기태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매 분, 매 초는 똑같은 무게와 축복을 지닌 삶일진데, 그 시간의 연결고리의 어느 지점, 지금 나의 일분은 무심하게 흘러가 그저 평화롭기만 하다, 그래서 때때로 권태롭기까지 하다.

열두편의 실화,

열 두번의 불의의 사고는 평범하게 내일이라는 고리를 채우며 사는 평범한 사람들을 순식간에 삶과 죽음 사이의 틈으로 떠밀어버린다.

잠깐의 틈도 없이 삶과 죽음의 기로에 서버린 사람들,  생의 바로 다음 순간의 일초를 빼앗기기를 강요당하는 순간, 생을 선택하는 사람들.  그들은 그 한순간에 자신의 삶과, 다음 순간의 삶의 일초를 강하게 움켜쥔다.

책 속의 기록은 너무나 생생하고 절박하여, 평범한 사람들의 전 생애가, 오직 삶과 죽음의 본능만이 존재하는 숨막히는 순간 속으로 압축되는 듯이 보였다.  자신을 집어삼킬듯한 까마득한 빙벽에서, 검은 물속에서 갑작스런 사고는 사람들을 할퀴고 공격한다. 그 순간에 사는것 말고 다른 무엇을 생각할수있을까.  살아온, 그리고 앞으로 살아가야할, 그리고 자신이 함께 살아가야할 사람들의 삶까지도, 그 모든것이 압축된 엄청난 순간의 압력이 삶에 대한 강한 의지로 바뀐 것 처럼 보인다. 그 간절함이 생의 다음 일분을 허락한 것이 아닐까.  

그렇게 생을 할퀴고 상처를 입힌 사고들은 아픔만을 남긴것 처럼 보이지만 그렇게 얻어진 삶의 깨달음은 살아가는 동안 서서히 치유되며 남은 삶을 통해 더 뚜렷하게 생을 빛나게 한다. 

사건의 주인공들이 경험한 환상, 혹은 종교에 대한 진술들은 나의 종교와는 별개로 모두 진실이라고 받아들였다. 그리고 그것이 그들이 경험한 사실에 대한  꾸밈없는 진실의 증거라고도 생각되었다.

계획되지 않은 우연한 사고의 기록들은 작가에 의해 열두편으로 엮어지고 , 각각의 이야기는 하나의 거대한 삶의 메세지가 되어 전달된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전달하는 작가의 글과 표현은 정말 대단하다. 소설보다 더 소설 같은 에피소드 하나하나가 누군가의 삶을 통한 귀중한 깨달음이며, 작가의 필력이 더해 그들의 손짓과 눈짓 하나하나에 깊게 감동하였음은 두말할 것도 없다. 

생은 매순간 우리를 초대하고 있다. 

생의 감각은 빛나고 정원은 푸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