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주류의 이의신청 - 영화감독 켄 로치, 다른 미래를 꿈꾸다
박홍규 지음 / 틈새의시간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감독 켄 로치

이 책의 저자 박홍규 교수님은 영화감독 켄 로치의 영화를 한 문장으로 정리했다.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 비주류의 이의신청"이다.

부끄럽지만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켄 로치 감독을 몰랐다. 책을 읽어보니 영국을 대표하는 영화감독이라고 한다. 책 내용 중 알프레도 히치콕과 찰리 채플린 못지않은 유명한 영화감독이라고 하는데 내가 평소에 영화를 즐겨 보지 않는 결과이다. 그런데 박 교수님은 켄 로치 감독의 1960년대부터 최근 작품까지 거의 모든 영화에 대한 간략한 줄거리와 해석을 이 책을 통해 주장한다. 모든 작품을 보지 않고서는 할 수 없는 해석이라 감탄하며 책을 읽었다.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켄 로치 감독의 영화에 대해 전체적으로 이해한 후 몇 작품을 선택해서 보면 좋을 것 같아서였다. 책을 읽어보니 역시 켄 로치 감독의 영화에 대해 많은 작품을 본 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이다. 켄 로치 감독에 대한 느낌은 비주류를 일관적으로 대변해 온 휴머니스트의 모습을 그리게 된다. 박 교수님은 책 속에서 정치, 자본 권력이 서민을 착취하는 세상에서 비주류의 이의신청 수단으로 영화를 만들어온 사람은 켄 로치 감독밖에 없다고 단언한다.


이 책에서 인상 깊었던 점은 켄 로치 감독의 영화에 대한 해석도 물론 좋았지만 영화 줄거리 속 현실을 한국 사회랑 비교하여 설명한 박 교수님의 주장이었다. 그중 노숙자 문제를 다룬 켄 로치 감독의 영화 "케시 컴 홈"과 비교한 한국 사회의 부동산 문제에 대한 시각에 동감한다.

박 교수님은 시각을 요약하면 "집은 여전히 투기의 대상이다. 국민의 심성을 피폐화했고 사회를 분열시켰고 가치를 전복시켰다. 주거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기성세대는 젊은이들에게 영혼을 팔아서까지 집을 사라고 부추긴다"로 정리할 수 있겠다. 내 생각도 동일하다. 20대~30대가 영혼을 팔아서 할 일이 겨우 부동산 구입이면 너무 슬프지 않은가? 부동산 사고 빚 갚는데 영혼을 팔아서 정말 중요한 일을 못하는 사회가 되어가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우리는 영화를 통해 현실을 본다. 그런데 가끔 이런 생각을 해본다. K 드라마나 영화를 많이 본 중국 사람이 한국에서 살면 얼마나 많은 갭이 있을까? 아마도 할리우드나 영국 영화를 통해서만 영국을 봐왔고 미국이나 영국에서 살아보지 못한 나와 비슷할 것 같다. 영화를 통해 사실이 아닌 것을 그대로 수용하기 싫으니 켄 로치 영화를 봐야겠다.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 영화들이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