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하여 찬란한 삶을 향한 찬사 - 완벽하지 않아 완전한 삶에 대하여
마리나 반 주일렌 지음, 박효은 옮김 / FIKA(피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 저자가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핵심이 이 구절이 아닌가 싶다. (본문 p36-37)


내가 이 책을 받자마자 하루만에 절반 가까이 읽어낸 이유는 이 책의 목차에서 

1장 '그만하면 괜찮다'는 마음을 꺼리고 있진 않은가?를 마주하게 되서이다. 


나는 이 질문을 맞닥들이자 정말 허를 찔린듯한 기분이 들었다. 그렇다. 나는 꺼려하는 마음을 매일 지니고 산다.



p31-32 당신에게 물질적, 지적, 신체적, 정신적 자유가 없다면, 평범하고 그만하면 괜찮은 삶에 대해 한가하게 찬반의 입장을 표할 여유가 없을 것이다. 녹초가 될 때까지 일을 해야 하는 사람이 어떻게 '마음껏 실패할 권리'에 대해 깊이 생각해볼 수 있겠는가.

:하루에 8시간을 일하고 퇴근해 집에 돌아와 조촐 내지 초라한 저녁을 지어 먹는다. 어쩌면 여기까지가 '평범하고 그만하면 괜찮은 삶'일 수도 있다. 적어도 내 기준에서는 말이다. 하지만 난 잠들기 전까지 책상 스탠드를 밝게 켜고 내일이나 일주일 후가 아닌 몇 년후 또는 나의 노후를 위해 하루 일과로 탕진해버려 얼마 남지 않은 기운을 짜내어 자기계발을 시작한다. 내 사전에 그리고 경쟁이 치열한 한국 사회에서 매일 완벽함, 탁월함, 성공을 희구하는 한국인의 사전에는 '마음껏 실패할 권리'란 애초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4장 '그만하면 괜찮다'는 마음에 관한 탐구

-다름을 드러내기를 두려워하지 않기 

p108 불투명성을 인정할 때, 우리는 우리가 예상한 범주 바깥에 있는 타인과 교류할 수 있다. 그것은 타인과의 비교에서 벗어나는 방법이기도 하다. 글리상은 "타인과 유대감을 느끼고, 그와 더불어 성장하고, 그가 하는 일을 존중하기 위해 그를 이해할 필요는 없으며, 내가 변할 필요도, 그를 내 이미지대로 만들려고 할 필요도 없다"라고 했다. 

:우리는 각자  다른 예상한 범주를 가지고 타인과 교류한다. 그리고 내 범주에 타인이 적확하게 들어맞을 확률은 지극히 낮다. 그렇다면 가장 효율적이고 우리가 흔히 쓰는 전략은 회피일 것이다. 범주화를 벗어난 상대를 이해하기란 늘 추가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더욱이 '빨리빨리'를 외치면서도 동시에 오류를 쉽사리 허락하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불투명성을 인정하고, 이해하려(재단하려)들지 않고 타인과 교류하기란 엄청난 도전이지 않을까 싶다. 



p125 타인에게 인정받지 못할 때 우리는 괴로움을 느끼지만, 동시에 우리의 위치를 새로운 방식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이 세계에서 차이를 대면하고 공존할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버틀러는 "그런 혼란이 우리를 무너뜨릴 수 있지만 그것은 우리의 상호 관계에 변화를 가져오고, 따라서 우리와 타인의 거리를 좁힐 수 있게 해준다"라고 설명한다. 그녀는 자만심에 사로잡혀 독단적 태도를 고수하면서 털끝 하나 상처 입지 않는 것보다" 서로가 서로에게 붕괴되는 것이 낫다"라고 강조한다. "자신을 방어하는 것이 타인의 존재를 통해 변화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도 말한다.

: 타인에게 인정받지 못해 거절 당할 때 제일 먼저 드는 생각은 일단 그 상황을 피하고 그 타인에게서 멀어지고만 싶다. 하지만 저자는 거절당함, 상대방의 범주에 들어맞지 않음, 사회가 정한 범주에 속하지 못한다고 해서 괴로워하거나 피하려만 하지 말고 내가 새로운 '범주'가 되어볼 것을 제안하고 있다. 


*총평: 효율성 재고에 사력을 다하기, 치열한 입시 및 취업 관문을 통과하기, 저출산 등의 난제로 병들어 가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한국인에게 꼭 필요한 책이 아닌가 싶다. 좋은 문장들이 많아 연신 밑줄을 그으며 읽었다.완벽하지 않아도 완전한 삶, 평범하여 찬란한 삶을 희망하는 모든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완독 후 개인적인 생각을 담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