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이런 책을 읽고 있었다. 기존에 있는 자기계발서는 '더 열심히 더 시간을 쪼개 쓴다면 성공할 수 있다'는 말은 맞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 

 어느 수준엔 공감했다. 전부를 인정하기에는 뭔가 찝찝했다. 내가 그렇게 열심히 살아서인지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보면 분개할 때가 있어서 그런가보다. 

 이 책을 통해 성공의 핵심이 무엇이냐는 것에 더 초점을 맞추게 된다. 거창한 이야기를 구구절절 이야기하지 않는다. 
 짧은 대화를 통해서 배워가는 그 시간이 얼마나 소중한지는 읽어보며 느꼈다. 주인공은 맥스 엘모어라는 노인을 만나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조언을 듣는다. 우리가 필요로 하는 그런 일들이 그의 인생에서 나타났다. 
 
 매일이 똑같은 쳇바퀴를 도는 다람쥐의 생활인 우리의 삶에 한 줄기 빛이 내리는 일은 왜 없는 것일까?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동일한 질문이다. 여기 주인공도 그런 똑같은 질문에 막막한 하루를 억지로 살아가고 있었다. 

기존의 성공전략은 하나도 쓸모 없다는 맥스의 말에 나도 충격을 받았다. 그런 거창한 목표가 오히려 사람들을 좌절하게 만든다는 그의 말에 이해가 되는 순간 마음이 요동쳤다. 열심히하면 된다고, 시간을 아끼면 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 내 생각은 직원의 그것을 벗어나지 못했던 한계였다. 

 우리는 새로운 성공 전략을 배워야한다.

  실험을 꾸준히 매일 나아지겠다는 의지를 버리지 말고 실천하라고 한다. 거창한 것은 필요없다. 작은 아이디어라도 뭔가를 시도하라. 

  오늘의 목표는 내일의 굴레가 된다. 
 위의 열거한 사람들이 처음의 꿈에 목표를 포기하지 않았다면 지금의 위인들이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목표가 전부가 아니다. 

 맥스의 목표는 단 하나였다. 

내일은 오늘과 좀더 다른 내가 되자!
옳다 싶은 일만 골라 하면 끝내 어찌 되는지 아나?
열이면 아홉은 실패한다네.

 자주 부딪혀야 한다는 이야기의 조언이다. 자주 여러번 시도하고 경험해야 한다. 

필요가 발명의 어머니라면, 우연은 발명의 아버지?

 성공을 연구한다고 해서 성공하는 건 아니거든. 사람들은 남의 성공을 보고서 그저 따라하기에 급급하지만, 진짜로 성공하고 싶다면 더 이상 남의 뒤를 따라 흉내내는 행동은 걷어치우게.

완벽함을 뛰어넘어 그 이상을 추구하라

 완벽한 것으로는 충분치 않다. 아직도 실험을 계속해야 하는 것이다. 

"일단 무엇인가가 완벽하다고 생각해버리면, 그때부터는 경쟁자에게 먹히기를 기다리며 가만히 앉아 있는 꼴이지, 따라서 완벽은 곧 쇠퇴의 첫 단계인 셈이야."

 "그냥 마음 편히 즐기면서 이것저것 새로운 것을 시도해보되, 항상 눈을 뜨고 있으면 되는 거라네. 사실 사람들로 하여금 변화하도록, 달라지도록 만드는 일은 어려운 일이야. 대부분 변화를 아주 싫어하거든. 그에 관한 이 늙은이의 녹슨 머리에 떠오르는 문장 하나를 읊어봄세."

사람들은 변화는 아주 싫어하지만, 
실험은 매우 좋아한다.

  "마땅히 해야 하는 이상의 것을 해내는 것"
 "진정한 성공은 마땅히 그래야 하는 이상의 것을 해냈을 때 얻을 수 있다네. 그냥 좋은 정도가 아니라, 아주 굉장해야지. 바로 마법처럼. 기적처럼."

새로운 아이디어는 새로운 장소에 놓인 낡은 아이디어에 지나지 않아.

 아이디어를 연결시키는 작업을 소개했던 내용이 기억이 난다. 
 몇가지의 리스트를 적고 주어와 서술어가 연결되는 것에 짝을 짓는다. 두 개의 리스트를 만들고 나서 서로의 리스트 중에서 하나씩 짝을 지어 연결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든다. 
예를 들면, A페이지에 11번 내용에 B페이지 2번 내용을 연결한다. 

 A 11번 "학교에 간다."
 B 2번 "엄마가 아프다."
 
 "학교에 가는 중에 엄마가 아팠다." 이런 식의 연결을 계속 연습하다보면 아이디어의 발견이 쉬워진다는 것이다. 

 문제 해결을 하는 방법을 계속 연결지어 새롭게 발견해보는 것이다. 고정관념을 뒤집는 방법을 배운 시간이었다. 맥스의 이야기를 나도 배웠던 귀한 시간이었다. 고정관념에 사로잡혔던 과거를 벗어버리고 새롭게 시도하는 인생이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내일은 오늘과 다른 사람이 되게, 
실험에 실패란 없다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