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움직이는 승부사 제갈량 - 승부처는 사람에게서 나온다 삼국지 리더십 2
자오위핑 지음, 박찬철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승부처는 사람에게서 나온다.
 사람을 봐야 기회를 놓치지 않고, 생각을 읽어야 판세를 엎을 수 있다!
 파산 직전의 유비를 천하통일의 승장으로 만든 신의 책사 제갈량의 용인술

우리가 아는 제갈량은 제갈량의 껍데기일 뿐이다!

 동양 고전의 정수인 삼국지 안에 존재하는 수많은 영웅 호걸 중 내가 제일 좋아하는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 제갈량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제갈량을 유독 좋아하는 이유는 어떤 사건이 생기거나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풀기 위해 세밀한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을 때, 제갈량에게 맡기면 최고의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것 같은 기대를 뛰어넘는 결과를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언제나 우리편이기만 바라는 슈퍼스타라고 하더라도 좋은 표현이라 생각한다. 마치 축구에서 호날두와 메시처럼...

 최근 인문학 돌풍에 관련 도서가 베스트셀러가 되고, 평범한 책에도 인문학이란 제목을 가져다 쓰면 어느 정도의 판매량이 담보된다고 하는 것을 생각하면서 과연 인문학의 기본은 어떤 것일까를 고민해 봤다. 고전인 삼국지를 읽으며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인문학적인 분석을 하고 싶었다.
 
 인문학을 거론할 때 그 기준이 되는 것은 역시나 사람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사람에 대한, 사람에 의한, 사람을 위한 학문이며 우리 모두가 사람을 알아가는 데 평생을 다해도 깨닫지 못하는 분야일 것이다.

 삼국지에 수많은 영웅들이 있지만, 그 중 제갈량만큼 매력적인 인물이 또 있을까?라고 질문하면 대부분의 사람들도 내 생각처럼 제갈량에 비견될 인물을 뽑기가 힘들 것이다.

 삼국지 안에 나라의 황제가 된 유비, 조조, 손권 등의 대표적인 리더들이 있지만, 그들과는 다른 리더십을 발휘해서 중국 천하를 삼국으로 나누고 유비를 도와 촉나라를 세우는 등 그 핵심 역할에 지대한 공헌을 하는 사람이 제갈량이다. 내 개인적인 생각에 중국 천하 삼분지계를 완성한 데 제갈량의 지분은 80%정도가 아닐까?

 이 책은 그 제갈량이란 사람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그의 리더십과 처한 상황과 상대한 사람에 따라 그리고 장소에 따라 다른 책략을 사용하는 그의 능수능락한 지혜를 배우고자 만들어진 책이다. 그 때의 책략으로만 이해하는 것이 아닌 현실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 많은 사례와 이해하기 쉬운 예를 들어 말하는 것이 읽는데 어려움을 겪지 않게 도와준다.

 삼국지와 자치통감, 삼국연의 등의 고전들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현대적인 감각과 사례들을 들어 읽기 쉽게 제갈량이 사용한 조직 운용과 용인술을 분석해 놓았다. 제갈량이 어떤 전략을 통해 자신을 최고의 브랜드로 만들어갔는지가 제일 흥미를 느끼게 하는 부분이었다.
 
 동양 고전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는 사람들에게 적극 추천한다. 관리직에 있는 사람, 경영자로써 인생을 살고 있는 모든 분들께 권하고 싶은 책이다.

 새로운 배움을 얻는 기쁨이 이렇게 즐거울 수 있다는 것을 느끼는 정말 좋은 책이라 단언하고 추천하고 싶다. 

 논어 학이편이 생각난다.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역시 기쁘지 아니한가?
친구가 멀리서 찾아오면 역시 즐겁지 아니한가?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으니 역시 군자가 아니겠는가?"

 배움의 재미를 한껏 누리게 해 주는 귀한 책을 빌려봤다는 자책감에 바로 구매하기로 결심했다.

 전술, 전략에 관한 책을 워낙 좋아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저자의 깊이 있는 깨우침과 현대적인 감각을 통해 게임이론 등을 제시하며 제갈량의 정책들을 분석하는 기쁨은 너무나 컸다고 말하고 싶다.

 p.283
 '모든 일의 성공은 결론적으로 말하면 용인의 성공이고, 당연히 모든 일의 실패는 결론적으로 용인의 실패다!'

 p.307
 수많은 세부적인 일들 중에서 가장 긴요하고 가장 전략적 가치가 있는 것을 선별하여 주목해야 합니다.
 첫째, 열심히 하기보다는 더 중요한 일을 선택하라.
 둘째, 현미경으로는 코끼리를 볼 수 없다.

 관리의 본질은 다른 사람을 통하여 일을 하는 것입니다. 모든 일을 하나하나 자신이 다 한다면 그것은 모범 근로자입니다. 자신이 하지 않고 사람을 배치하여 하게 하면 그것은 관리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관리의 규율은 이렇습니다. 하나의 일에 있어서 잘할 수 있으면 합격이고, 10개의 일을 잘할 수 있으면 우수한 것이며, 50개의 일을 잘하면 탁월하다고 하고, 100개의 일이 있는데 노력하여 다 잘하려고 하면 그것은 죽음을 자초하는 길입니다.


 깨달음 ---------------------------
 제갈량과 같은 통합적인 인재를 부하로 둘 수 있었던 유비는 과연 성공한 리더라고 생각이 든다.
 사람이 전부다. 라고 말하는 그의 이야기를 읽으며 더 깊이 있는 통찰을 얻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