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담심리사로 살아남기 - 진로고민부터 개업까지
오형경.김진형.함광성 지음 / 학지사 / 2024년 1월
평점 :
심리상담사 3인이 전하는 진로 고민에서 개업 상담사가 되기까지.
진로의 첫 단추부터 점검하며 자신을 브랜딩하고,
나 자신에게 가장 적절한 답을 찾기에 최적인 책이다.
상담은 함께 이야기하는 것.
심리상담은 마음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는 것.
전문적인 심리상담은 이와 같은 일을 할 때 '심리학'이라는 도구를 활용하게 된다.
심리학이 좋아서 공부를 시작했지만 직업으로서 상담자는 또 다른 영역이다.
상담심리사는 경제활동과 생계 그리고 브랜딩이 되어야 한다 말한다.
이 책은 진로와 상담사로서 그리고 개업상담사까지 과정을 보여준다.
1. 상담심리사가 되어 보자.
진로부터 심리상담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향성을 알려준다.
특히 '나의 길'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지는 상담으로서 다양한 방향성을 보여줘서
심리학을 배우고자 하는 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2. 개업에 앞서 당신을 브랜딩하라.
상담도 브랜딩이 필요하다는 것이 생소했다.
상담이 내담자와의 만남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브랜딩 함으로써
내담자가 찾는 상담자가 되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부분을 알 수 있어 좋았다.
3. 상담센터 개업과 운영
1인 상담센터를 시작으로 센터 운영자로 경험을 쌓아 규모를 늘려 나가는 것을 권한다.
그리고 상담센터시 개업과정부터 부동산, 운영노하우까지 상담센터 개업과 운영에서
필요한 것들이 모두 담겨 있어 개업을 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4. 상담센터 홍보하기
마지막 홍보의 다양한 방법들을 알려주며 상담심리사로서 홀로 서기하는 이들의
든든한 조력자가 되어 준다.
상담심리사를 공부하고자 하는 이부터 공부를 하고 있는 사람들
그리고 이후 진로를 고민하는 이들 모두에게 너무나도 도움이 될 책.
심리학 공부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가 되어 내담자를 돕는 길에
함께 그 길을 걸을 수 있게 길을 알려줘서 좋았다.
이 책은 상담사를 꿈꾸거나 상담을 하는 이들에게 전하는
<상담심리사로 살아남기> 위한 따뜻한 연대이다.
<본 도서는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심리상담에서의 공감은 ‘나‘도 있지만 ‘남‘의 입장에서는 어땠을까를 상상할 수 있는 능력, ‘내 감정‘을 분리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 P13
나는 심리학을 좋아하고, 공부를 하고 싶어서 상담자를 직업으로 선택했다? 공부를 하는 것과 이것을 직업으로 삼아 일하는 것은 다릅니다. 직업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면 그것을 통해 경제활동을 하고 나의 생계를 책임져야 합니다. ‘힘들 때도 내가 이 일을 기꺼이 해낼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은 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P20
‘내 마음이 힘들 때가 있고, 그럴 때는 도움을 받아야 한다‘를 ‘내 마음이지만 나 스스로 어찌할 수 없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전문가인 상담심리사를 찾아가야 한다.‘로 변화시키는 데에는 보이지 않는 수많은 난간이 있습니다. - P74
완벽, 성공, 가치, 경직된 윤리에서 자유로운 사람만이 뻔뻔한 자신감으로 경험을 쌓아갈 수 있습니다. - P87
‘시도 그리고 실패‘ 시도하며 조금씩 보완하면 됩니다. 완벽함을 내려놓아야 성장이 시작됩니다. - P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