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는 착각 - 뇌는 어떻게 인간의 정체성을 발명하는가
그레고리 번스 지음, 홍우진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뇌는 어떻게 인간의 정체성을 발명하는가 


이 책은 첫 장부터 나를 흔든다. 


"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망상이다."


세계적 신경과학자가 서사구조로 풀어낸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는 끊임없이 나에게 질문하게 된다. 


'지금의 나는 무엇일까?'


우리는 현재를 산다고 생각하지만, 

많은 자기 계발 전문가들이 지적하듯 과거에 갇혀 산다 말한다. 


자아정체성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과 탐구는

결국 '나는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가?'로 이어진다. 


과학적 접근으로 자아라는 것의 허구와 이야기 형식으로 접근한 

뇌의 메커니즘은 그동안 생각했던 개념을 완벽히 뒤집어 버린다. 


자아의 기원을 찾고 자아가 생성되는 

뇌의 메커니즘으로 새로운 변화의 시발점이 열린다. 


'세상 그 누구도 당신이 보는 내 모습으로 당신을 보지 않는다.'


이 한 줄은 이 책을 읽어야 할 이유이다. 

나는 그동안 자신을 자각함에 

어떠한 오류를 가지고 있었는가를 깨닫게 된다. 


'현재의 자아는 그저 과거의 자아와 미래의 자아 

사이에 존재하는 2초짜리 출입구일 뿐이다.'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대비로 미래의 자신을 상상해 보는 것. 

언제 미래의 나를 상상을 했던가 잠시 돌아보게 된다. 

어릴 적에 나는 미래를 상상하곤 했다. 

어른이 된 나는 과거를 후회만 했다. 

행위의 후회는 즉각적이고 단기적이다. 

행하지 않은 것의 후회는 천천히 나타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커진다. 


미래는 과거의 거울일 뿐이다. 미래는 우리가 결정할 수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과거의 경험과 

기억에 의존해 미래의 나를 예측하는 것뿐이다. 

그러면 미래를 바꿀 수 없는 것일까?

저자는 자신의 미래를 바꾸기 위해 서사와 이야기 구조 형식을 도입하였다. 

서사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미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는 설정이 흥미롭다. 

이 책은 '새로운 나에 대한 접근법'을 알려준다.


나에게는 여러 가지 버전의 내가 있고

그중에서 미래의 자신이 후회하지 않을 길을 선택하는 것이다. 

앞으로의 내가 적어갈 나의 서사 그것이 바로 내가 될 것이다. 


당신 만의 삶의 이야기를 만들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본 도서는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