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디자인하다
이국희 지음 / 학지사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지심리학자 이국희 교수가 전하는 행복 지름길.

일과 나, 나와 너, 나와 우리 사이에서 전하는 

삶의 목적지 '행복'

행복을 위해서 무엇이 중요할까? 

행복을 찾기 전에 나를 우선 알아 가는 게 

중요한 게 아닐까 싶다. 

나를 올바로 바라보고 존중하며 

약점과 단점을 수용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다. 

행복을 위해서는 관계도 일도 균형이 필요하다. 

어느 하나에 몰두하는 것이 아닌

적당한 균형을 통해 행복을 잡고 내 삶을 살게 된다.

 

내가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을 해결하고

나의 삶을 지키고, 나의 일을 지키고,

내 것을 지키고 발전해 나가는 것이 우선이다. 


어쩌면 나는 단순한 행복이라는 

허상만 쫓으며 불행하다 생각한 게 아닐까 싶다.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나'였다. 

행복이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아가는 거였다. 


여러분은 슬럼프가 오면 어떻게 하시나요. 

여러분들도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들었을 거예요. 


'하루 이틀 아무것도 하지 말고, 쉬세요. 

 원래 하던 일, 생산적인 일, 고난도의 연습, 다 쉬고 다른 것을 하세요.'


이런 말에 나는 확신을 가지고 놓아버린다. 

그런 후 어떻게 되었을까? 

그냥 그대로 쭉 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흔히 감도 떨어지고 다시 끌어올리는 게 힘들어진다. 

이 책을 통해 좋은 결과를 위한 행동이 

더 나쁜 결과로 나타난 이유를 알게 되었다


'집중 안 되는 날이라고 '0'을 만들진 말라. '

나는 그동안 힘들거나 지쳐버리면 그 일이나 상황을

완전히 놔버리는 선택을 해왔던 행동이 

오히려 나를 더 궁지로 몰아간 것이다. 


힘들 때 회피보다는 일을 좀 줄이는 방법으로

'0'으로 만들지 말라는 것이다. 

속도가 늦고 힘들고 내려놓고 싶어도 

제로로 만들지 않고 어느 정도 이어 나아거나

늘 하던 대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일과 나 사이에서 중요한 관계 형성일 것이다. 


책 재목이 <행복을 디자인하다>인지 알게 된다. 

나의 행복은 내가 만들어 나가기 때문이다. 

노력하지 않고 나에게 오는 행복이란 없는 것이다. 

행복의 시작은 내가 무엇이든 시작하며

노력해 쟁취하여 유지하는 거다. 


건강한 관계와 성숙하고 건강한 마음의 습관을

내 것으로 만들어 나의 인생의 잘 풀어나가자. 

행복은 매 순간 내 곁에서 나와 함께 

더 나은 행복으로 발전해 갈 것이다. 



여러분은 어떤 행복을 디자인하고 싶으신가요?

나의 맞춤 행복 디자인을 위한 책. 추천합니다. 


<본 도서는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자신을 존중한다는 건 뭘까? 자신의 장점만이 아니라, 약점과 단점도 수용하고 개선하려는 마음가짐‘이다. ... 존중은 현실을 직시할 때 나온다. 나에 대해 올바로 볼 수 있어야 나를 존중할 수 있다.
- P53

노력해서 얻은 것은 부작용이 없는데, 노력하지 않고 얻은 것에는 부작용이 있다. - P66

일단 시작하는 것이 몰입이라는 마법이 발동되는 일종의 주문이다. 할 일을 한 가지 정해서 아주 의도적으로 그 일에 대한 집중을 유지하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 P69

집중이 어렵고,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 날에도 늘 하던 대로 하려고 해 보자. 그 어떤 날에도 최소한 ‘0‘을 만들진 말자. - P86

건강한 관계는 행복의 원인이 아니라, 행복이라는 원인의 결과이다. 성공해야 행복한 게 아니라, 행복해야 성공한다는 말이 건강한 관계에도 적용된다. 건강한 관계가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안정적이고 행복한 인간이 건강한 관계를 맺는 것이다! - P118

건강한 관계는 많이 맺으라.
그러나 이상한 사람은 멀리하라! - P150

내 것을 못 했으면 남의 것에 신경 쓰지 말라. - P181

넓은 시야는 독서에서 나온다. 넒은 시야를 가지게 되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불안도 감소한다. - P2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