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땅의 야수들 - 2024 톨스토이 문학상 수상작
김주혜 지음, 박소현 옮김 / 다산책방 / 202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함박눈 내리는 평안도 깊은 산속

입김 가득 나오는 추운 날

그날의 우연한 조우가

인연이 되어 얽히며

격동의 한반도 이야기가 담겨 있다.


쓰라린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그 시대에 살아낸 이 땅의 주인들의 삶을

세월의 풍파 사이 각자의 방식과 신념으로

살아냄을 보여준다.


앞에 나서지 않아도

모두가 한마음으로 함께 이어온

독립투쟁

폭풍 속 휘몰아치는 시대 상황에서

인물들의 인연들이 가슴 아프게 나를 두드린다.



수십 년간의 삶 속 등장인물들의 이야기에

사랑, 공감, 연민, 후회, 분노 등

많은 생각이 들게 한다.


끊임없이 자주독립을 위해 살아오고

각자의 방식과 신념으로 나라를 위해

행동해온 그들


두꺼운 분량만큼 읽는 내내

영화를 보듯 그 시대상을 잘 나타내었다.

마음 빼앗기듯 인물들에 몰입하게 한다.



*출판사에서 책을 지원받아 작성합니다. 감사합니다. 

‘호랑이가 널 먼저 죽이려 들지 않는 한, 절대로 호랑이를 죽이지 말아라.‘

호랑이들은 영물이라 복수심을 품을 줄 압니다. 불의와 정의를 기억할 만큼 영리하고, 공격을 받아 다치면 상대를 죽일 기세로 덤빈답니다.
- P41

"저 강 한가운데 떠 있는 조그만 잣나무 배
몇 해나 이 물가에 한가로이 매였던고
뒷사람이 누가 먼저 건넜느냐 묻는다면
문무를 모두 갖춘 만호후라 하리." - P68

"주변에 벽이 없다고 해서 대문이 제 역할을 못 하는 건 아니란다."
- P102

모든 인간은 근본적으로 자신이 고유한 의미를 지닌 존재라고 믿는다. 그러지 않으면 각자의 인생을 버텨내기 어려울 것이다. - P119

그 모든 것들이, 공기가 아닌 다른 무언가로 옥희의 폐를 가득 채웠다. 지금까지 살아오는 동안 이런 감정이 가능하다는 것도 몰랐던 그것은 바로 자유롭다는 느낌이었다.
- P150

삶이 꾸준한 전진의 과정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 태도는 젊음 특유의 요건이다. - P153

"이제 내겐 싸워서 지킬 것도 없어."
"아, 그런 건 상관없어. 죽을 때까지 싸워야지. 그게 바로 관건이란 말이야." - P5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