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그런 말은 쓰지 않습니다 -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새로고침이 필요한 말들
유달리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일상에서 얼마나 많은 차별 언어를 사용하고 있을까요?


헬린이, 급식충, 꼴통, 지잡대, 분노조절장애

표준어, 정상 가족, 장애우, 처녀 등등


무지로 인해 무의식적으로 내뱉은 '말'에

누군가에겐 ‘칼’이 되고, 마음을 다친다. 


"농담인데 왜 그래, 너 진지충이냐."

"내가 결정 장애가 좀 심해..."


장난과 농담 속 숨은 혐오의 말. 

악의 없이 내 뱉은 차별의 말.


일상생활에서 그리고 미디어에서도 무심결에 사용하는 표현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니까 주류가 된 표현들. 

그 속에는 차별과 혐오가 깃들어 무분별 하게 사용되고 있다.


모두가 사용하는 단어이니까.

모두가 생각하는 행동이니까.

그 모두는 누구를 위한 것일까?


작가는 더 나은 삶을 위해 주류라 말하며 사용하는 표현 속에서

차별과 혐오의 말들과 생각의 새로고침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나또한 습관처럼 내뱉던 나의 차별적인 언어습관을 돌아보고

반성하게 되었다. 


‘언어 감수성’을 통해 성숙한 어른으로서 성숙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모두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언어 필터링을 제시한다.


자신의 무례를 인지하고 차별 단어를 사용하는 습관을 버리고

모두와 어우러지는 안전한 대화를 시작해 보자.

갈등을 피하고 서로 상처없이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한 책. 


"당신이 쓰는 말이 곧 당신 자신이 된다"


*출판사에서 책을 지원받아 작성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신의 무례를 인지하는 사람은 남의 마음에 대형 사고를 치지 않는다. 차별 단어를 애용하는 모난 습관을 버리기만 해도, 안전한 대화가 가능하다.
- P11

즉 우리가 갓 무언가를 시작한 어리숙한 어른을 데려다 ‘어린이‘에 비유하는 행위는 은연중에 ‘어른은 항시 성숙하고, 어린이란 그와 반대로 덜 자란 어른에 불과하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사회 모두가 어린이는 존중받아야 한다고 외치더라도, 실제로 우리가 뱉는 언어는 그럴 생각이 없는 것이다.
- P22

혐오의 유행
언젠가는 자신 역시 혐오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걸 알면서도 우리는 자신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혐오한다. 단지, 지금 당장 상대를 이겨 먹고 싶고, 멸시하고 싶으며, 이해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말이다. - P28

유행은 힘을 잃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 P32

무능력의 이유는 무노력이 아니다. - P44

우리는 언어를 통해 사회를 해석한다. 흔히 쓰는 ‘부모‘라는 말 하나가 ‘정상의 가정‘이란 범주를 만들고 그 이외의 삶의 방식을 그어놓은 선 바깥으로 내몬다. 선 안에서 바깥을 바라보며 서 밖의 가정은 완전하지 않다고 안쓰러워하면서. - P76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액세서리가 아니다. 그런데도 장애우라는 단어 속에서 장애인이 독립적인 완전체가 아니다 보니, 장애인의 방대말이 ‘정상인‘이라는 무지를 낳았고 장애인을 스스로 소개할 수 없는 존재로 만들었다. - P100

앞으로 헤엄쳐 나아가기를 포기한 생선은 내세울 게 과거밖에 없다. 졸업장을 원산지 스티커처럼 제 몸에 착 붙이고 어린 시절의 결과에 묶여 있는 학벌주의자들은 매대 위의 생선과 다른 게 무엇일까. - P150

"손상은 손상일 뿐이다. 특정한 관계 속에서만 손상은 장애가 된다."
- P234

언어는 주류가 만든다. 그리고 이 주류, 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단어는 ‘이견‘없이 상식이 된다. - P2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