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갈등 - 분노와 증오의 블랙홀에서 살아남는 법
아만다 리플리 지음, 김동규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갈등의 골은 왜 깊어지는 것일까?

서로를 미워하고, 증오하며, 

싸움을 반복하며 살아가는 것일까?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미디어를 통해 

갈등의 참혹한 결말들을 매일 접하게 된다.



가족갈등, 빈부격차, 젠더 갈등 등 사회적 갈등의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갈등을 파헤쳤다.


해결 방법은 없는 것일까?


증오는 중요한 감정이다. 그러나 그것은 일종의 증상이다. 그리고 그 원인은 갈등이다. 

고도 갈등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하나의 시스템이다. 

작가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고도 갈등을 수많은 현장 전문가와 역사학자 연구자들의 

취재를 통해 알아갔다.


<갈등에 도전하라>

"우리는 자신을 이해하는 마음이 있을 때 다른 사람도 기꺼이 이해하는 힘이 생긴다."


갈등을 완전히 풀지는 못하지만, 우리는 더 많이 이해하고,

더 많이 경청하며 서로의 벽을 허물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늘 사람들을 수많은 범주로 구분한다. 그것이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범주화는 시간과 에너지를 아끼는 방법이다. 여러 사람을 똑같이 대할 수 있으므로 그들 하나하나를 자세히 살피거나 깊이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범주화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효율적이지만, 한편으로는 많은 것을 놓친다. 


요즘 MBTI로 사람들을 구분하고 범주화 하는 것도 이러한 맥락과 같다고 생각되어 진다. 

범주화를 통해 바쁜 현대에 사람을 탐색없이 판단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일 것이다. 


익숙하다 못해 평범한 갈등. 

이러한 것들에 대해 세심한 관찰, 갈등에 대한 탐구와 해결책을 통해

현재 우리사회에 뻗은 갈등에 대해 다시 한번 더 생각하게 한다. 

'고도 갈등'에서 벗어나 '건전한 갈등'으로 

우리 사회에 필요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에서 책을 지원받아 작성합니다. 감사합니다. 

고도 갈등이란 선과 악의 구도가 뚜렷이 형성되어 ‘우리‘와 ‘그들‘간의 반목으로 치닫게 된 갈등을 말한다. 고도 갈등 상황에서는 정상적인 관계의 법칙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다. 이런 상태에서는 현실이든 가상이든 상대방과의 모든 관계가 대결의 양상을 띤다. - P18

심리학자 고든 올포트는 1954년에 출간된 그의 유명한 책<편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집단 간의 경쟁의식과 증오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새로운 일은 기술의 발달로 이런 집단들이 서로 너무나 가까워져서 도저히 편히 지낼 수 없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인휴는 이런 정신적, 도덕적 근접 상황에 어떻게 적응해야 할지를 아직 배우지 못했다." - P36

그런 점에서 고도 갈등도 일종의 최면 상태라고 볼 수 있다. 한번 사로잡히면 객관적인 시각을 취하기가 무척 어렵다.그래서 게리는 질문과 경청이라는 수단으로 사람들이 뒤로 한 발 물러나 멀찍이 떨어져서 상황을 바라보게 해준다. 그래서 그들은 눈앞에 있는 일의 이면에서 벌어지는 속사정을 깨닫게 된다. - P66

<갈등에 도전하라>
"우리는 자신을 이해하는 마음이 있을 때 다른 사람도 기꺼이 이해하는 힘이 생긴다." - P67

게리는 경청의 기술을 익히지 않고는 갈등의 함정에서 결코 빠져나올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 P76

인간은 신분적 차이를 인식함으로써 생존해왔고, 우리는 사회에서 중요한 범주가 어떤 것인지 알게 모르게 습득해 왔다는 사실이다. - P92

우리는 의사소통 능력을 과신하는 고질병에 걸려있다. 우리는 대체로 남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상상하는 능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 P110

‘어떤 갈등이든 한쪽이 전적으로 옳은 경우는 극히 드물다.‘ _게리 프리드먼<내면 탐구>
- P126

갈등이란 들불과 같아서 항상 같은 방향으로만 번지지는 않는다.
- P164

늘 내가 옳고 상대방은 그르다고 설득하려 드는가? - P4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