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자인 연구 논문 길잡이
한국디자인학회 지음 / 안그라픽스 / 2021년 12월
평점 :
발전하는 사회와 디자인의 역할을 통해 교육과 연구도 다변화되고 있으며,
디자인의 학문적인 관점에서 보면 디자인 연구에 대한 중심 가이드 정립이 필요했다.
개인적으로 디자인 교육과 연구는 새 시대를 맞아 복잡하고 다변화 시대에서
확고한 길잡이 역할이 부재했던 것은 사실이라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한국디자인학회가 설립되고 15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다양한 한문적 고찰과 논문들이 나왔다.
기존 디자인 논문들은 다양한 학문의 연구방법을 인용하거나,
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디자인 분야에 특화시킨 '논문 작성 방법'이 정립되어 온 것은 없었다.
그러한 점에서 한국디자인학회에서 출간한 '디자인 연구 논문 길잡이'는
많은 디자인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1부는 '디자인 연구의 이해'를 통해 디자인 연구 특성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디자인 연구 개념의 이해를 돕는다.
2부 '디자인 연구의 유형'을 통해 디자인 연구를 하기 위해 유형과 분류를 쉽게 설명해 준다.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다양한 디자인 연구의 분류 설명을 통해
자신의 디자인 연구 주제를 잡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3부 '디자인 연구의 방향'은 기본연구, 응용연구, 프로젝트 연구들을 통해
유형별 특성, 방법, 논문 사례를 담고 있다. 각 연구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자신이 연구하고자 하는 디자인 연구 방향의 기본 틀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4부 '디자인 연구의 노하우'는 실질적 연구를 위한 자세한 지침을 알려주고,
연구한 내용을 어떻게 논문화를 만들 것인지 알려준다.
역시 디자인 책은 '안그라픽스'
개인적으로 애정 하는 출판사에서 나온 많은 디자인 책들은 나의 책장에 무수히 꽂혀있다.
학문을 연구하며 책을 찾던 시절 그중 가장 원하고 찾던
'디자인 연구 논문'에 관한 책이 이제 나와 아쉽기는 하다.
항상 사회과학 분야의 논문 책을 통해 인용하던 것에서
디자인 분야에 맞춘 '디자인 연구 논문 길잡이'는
지금 학문과 연구에 매진하는 많은 분들에게 좋은 길잡이 책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공부하던 시절에 나왔다면,
논문의 방향성을 덜 헤매고 좀 더 논문을 잘 다듬어 제출할 수 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을 들게 한다.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합니다. 감사합니다.
디자인의 의미의 형성과 변화, 학술 연구 관점에서 디자인을 분류한 것을 종합해 디자인을 정의하자면 ‘현재 상황을 기능적, 감상적 차원에서 인식하고 문제와 원리를 파악해 유무형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복합적인 계획 및 창작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 P24
좋은 디자인 연구에서 앞으로 생각해야 할 부분은 디자인 연구 주체의 문제이다. - P53
좋은 디자인 연구란 결국 디자인에 대한 호기심과 질문에 흥미롭고 유용한 답을 제시하는 활동이다. 제시하는 답은 연구의 일반적인 기준인 독창성, 객관적 타당성, 재현성을 갖춘 지식의 형태로 논문의 형식을 빌어 기술되어야 한다. 나아가 디자인의 예술적 속성인 창의성과 통찰력을 고려하고 연구에 반영하는 것도 필요하다. - P54
|